스마트폰 앱 이용자 10명 중 7명은 앱 이용 도중 생성되는 위치·결제내역·건강상태 같은 개인정보 유출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이 최근 전국에 거주하는 만 20살 이상 스마트폰 보유자 1000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의 내비게이션 앱과 음식점 메뉴 추천앱, 스마트워치의 건강관리 앱의 개인정보 침해 우려’를 조사한 결과, 앱 이용자의 70% 이상이 개인정보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동의 없이 수집될 가능성을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앱 종류별로 보면 ‘내비게이션 앱’은 81.7%, ‘음식점 추천 앱’은 78.1%, ‘건강관리 앱’은 75.5%의 응답자가 동의없는 개인 정보 수집을 우려했다.
이용 내역 정보가 무단으로 광고업체 등에 판매될 가능성을 우려하는 소비자는 음식점 추천 앱에서는 73.3%, 건강관리 앱은 71.2%, 내비게이션 앱은 70.2%로 나타났다. 앱 이용과정에서 감시당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음식점 추천 앱(58.5%)과 건강관리 앱(58.1%), 내비게이션 앱(53.1%)의 순으로 우려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빅데이터 활용으로 새로운 부가가치가 창출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이용자 대부분이 100점 만점에 평균 71.2점을 줘 기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빅데이터 활용 사업자에 대한 신뢰는 이에 미치지 못했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기업의 이익이 결국 최종소비자에게 돌아올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엔 평균 58.4점을 주는 데 그쳤다.
한국소비자원은 이용내역정보 같은 개인정보를 빅데이터로 활용하고자 하는 사업자가 사전에 그 사실을 소비자들에게 공개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를 마련해달라고 관련 부처에 요청할 계획이다.
김미영 기자 instyl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