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말 남북정상회담 개최를 위해 케이티 직원들이 판문점 자유의 집에서 통신시설 구축 작업을 하고 있다. 케이티 제공
지난달 27일 남북 정상회담 이후 남북 경제협력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케이티(KT)가 남북 경제협력 전담 조직을 꾸려 경협사업 대비에 나섰다. 현대그룹이 전담 조직을 출범시킨데 이어 기업 차원의 공식 행보로는 두번째다.
케이티는 남북 경제협력을 지원하고 남북간 정보통신 교류 확산을 위한 ‘남북 협력사업 개발 티에프’를 만들었다고 10일 밝혔다. 티에프는 경영기획부문장 직속 임원급 조직으로, 산하에 대정부 지원 분과(정부 정책협력 지원), 비즈니스모델·인프라 분과(사업 개발 및 추진), 그룹사 분과, 지원 분과를 뒀다. 케이티는 2014~2016년에도 팀 규모의 ‘남북협력 티에프’가 있었으나 이번엔 임원급으로 위상을 높였다.
앞선 남북 정상회담 등에서 통신 지원을 한 바 있는 케이티는 경협 지원과 더불어 사회·문화 등 교류협력을 위한 인프라를 제공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특히 개성공단·금강산 관광 등 대북사업이 재개되는 즉시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개성공단의 남북간 민간 통신망을 연결했던 케이티는 2005년 개성공단에 지사를 내고 직원을 상주시키며 통신 지원에 나선 바 있다. 북한 당국으로부터 통신국사 부지 1만㎡를 50년간 임차해두고 있기도 하다.
케이티는 이밖에 2004년 북한의 삼천리총회사(조선컴퓨터센터)와 추진했던 소프트웨어 공동 연구개발을 재개하는 등 정보통신분야의 교류사업과 이산가족 상봉 지원 등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방침이다. 케이티 구현모 경영기획부문장(사장)은 “케이티는 지난 4월 남북 정상회담 주관 통신사로서 방송중계망 및 프레스센터 통신망을 완벽히 제공하는 등 남북협력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정보통신 분야는 물론 사회·문화적으로도 남북간 협력이 강화되도록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박태우 기자
ehot@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