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 안에 있거나 전파 음영지역 때문에 구조요청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경찰청·소방청이 ‘긴급구조용 지능형 정밀측위 기술’ 개발에 나섰다고 20일 밝혔다. 2022년까지 201억5천만원을 투입한다.
과기정통부는 2차원(평면) 위치정보만 나타내는 기술을 3차원(높이) 정보까지 파악할 수 있도록 고도화하고,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해 실외는 물론 실내위치 정밀도까지 높여 50m 이내로 위치측정 오차를 줄이기로 했다. 특히 현재까지 긴급구조 측위가 안됐던 단말기(알뜰폰·자급제폰·키즈폰·유심이동폰 등)도 측위가 가능하도록 연동표준을 개발해 사각지대를 줄인다는 계획이다. 경찰청은 전국 단위 긴급구조용 지능형 위치정보 제공을 위한 측위용 데이터를 수집해 과기정통부에 제공하고, 엘티이(LTE) 전파의 신호세기와 시간지연정보로 거리를 측정하는 측위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소방청 역시 화재로 인해 무선통신 인프라 활용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소방용 전용단말기를 통해 실내 구조요청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을 개발하기로 했다. 여러부처가 참여해 개발에 나서는 만큼 연구개발전문기관인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참여하는 사업추진 협의체를 구성해 기술개발과 실증사업에 협력할 예정이다.
그동안 범죄·재난 상황에서 구조요청이 들어올 경우 경찰·소방은 위성항법장치(GPS)나 휴대전화 기지국 정보 등을 통해 구조요청자를 찾아냈는데, 이 위치정보의 오차가 100m이상 차이가 날 경우가 많았고, 건물 안에 있을 경우 정확한 위치를 찾아내기는 더욱 힘들었다.
박태우 기자 ehot@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