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석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이 3일 오전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파이낸스센터 과기정통부 영상회의실에서 열린 ‘코로나19 대비 방송·통신·인터넷서비스 비상 대응체계 점검회의’에서 코로나19 사업자별(통신, 유료방송) 비상 대비 대응계획을 점검하고 있다. 연합뉴스
에스케이(SK)텔레콤 등 이동통신사들이 코로나19에 대비해 전문인력 풀을 구성하고, 근무지 폐쇄시 원격 망을 운용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에스케이텔레콤, 케이티(KT), 엘지(LG)유플러스, 에스케이브로드밴드 등은 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으로 열린 ‘코로나19 대비 방송·통신·인터넷서비스 비상 대응체계' 점검회의에서 이같이 설명했다. 회의는 원격 영상회의 방식으로 진행됐다.
통신사업자들은 우선 감염 등에 따른 운용인력 부족에 대비해 망 관리·운용 경험이 있는 직원과 운용협력사 직원들로 전문인력 풀을 구성했다고 소개했다. 특히 사업장의 근무자가 동시에 격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운용인력을 A조(운용조)·B조(백업조)로 구분하고, 예비로 C조(운용 경험 인력)를 추가 편성했다고 한다. 일부 통신국사가 폐쇄되더라도 다른 국사에서 원격으로 통신망을 운용할 수 있도록 원격 망 운용시스템을 구축했고, 지역별·중요 통신시설별로 대체 운용 국사를 지정하고 있다고 이들은 덧붙였다.
이외에 에스케이브로드밴드 등 유료방송사업자들은 디지털미디어센터(DMC)의 이원화와 원격제어를 통한 방송 시스템과 네트워크 관리 등을 통해 방송의 지속성을 확보하고 있다고 밝혔다. 카카오는 지난 2일 발생한 카카오톡 서비스 장애와 관련해 트래픽 과부하가 아니라 네트워크 장비에 오류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장석영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카카오는 기간통신망을 보유하고 있는 사업자는 아니지만, 대다수 국민이 애용하는 서비스인 만큼 장애 방지에 더 각별히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말했다. 김경락 기자
sp96@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