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석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이 3일 서울정부청사서 3차 추가경정 예산안 가운데 ‘디지털 뉴딜’ 추진 계획을 언론에 설명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모바일 기차·버스표 구매와 모바일 금융 등 생활 속 온라인 서비스들이 복잡하게 만들어져 어르신 등은 이용하기 쉽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가운데, 정부가 주민센터와 복지관 등을 통해 ‘디지털 문맹자’들을 대상으로 생활 속 디지털 서비스 이용법과 디지털 윤리 등을 교육한다.
장석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은 3일 서울정부청사에서 3차 추가경정 예산안의 ‘디지털 뉴딜’ 관련 내용을 설명하면서 “전국 주민센터와 복지관 100곳을 ‘디지털 교육센터’로 운영해, 어르신 등의 디지털 차별 문제를 해소하겠다. 각 교육센터마다 디지털 강사 2명과 도우미 2명씩을 배치해, 국민 누구나 생활 속 디지털 서비스 활용법 등을 배울 수 있게 하면서 일자리도 만들겠다”고 밝혔다.
스마트폰에서 바로 기차·버스표 등을 예매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지만, 어르신 등 국민 상당수는 이용할 줄 몰라 기차역·버스터미널 창구에서 사고 있다. 모바일 예매로 표가 동나 창구 앞에서 줄까지 섰다가 허탕을 치는 경우도 있다. 은행이 모바일·온라인으로 예·적금을 들면 이자를 더 주는 상품을 앞다퉈 내놓고 있지만, 어르신 등은 엄두를 못내 이자율에서 차별을 당하는 처지로 몰리고 있다. 패스트푸드 매장 등의 키오스크(무인 주문기)도 어르신 등에게는 높은 문턱이다.
장 차관은 “디지털 전환 흐름에서 소외돼 차별받는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디지털 인프라 구축 못지 않게 ‘디지털 포용’ 정책도 강화하겠다. 1407억원을 들여, 디지털 활용 능력 강화 교육과 함께 오지 농어촌 마을서도 초고속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게 하고, 공공 와이파이를 확대하고 품질을 고도화하는 방안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과기정통부 박윤규 정보통신정책관은 “디지털 서비스 활용 교육의 경우, 추경 예산이 확정되는 대로 바로 추진될 수 있도록 관련 부처와 협의 등 준비를 서두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이날 공개한 3차 추경 예산안 35조원 가운데 ‘디지털 뉴딜’ 추진 예산은 8324억원이다. 과기정통부는 이 가운데 2925억원을 인공지능(AI)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훈련(머신 러닝) 데이터를 발굴·확보하는데 쓸 계획이다. 장 차관은 “각 협회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아이디어를 모은 결과 720종이 제안됐다. 그 중 알츠하이머 진단과 불량 판단 등 삶의 질과 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되고 일자리 창출에 도움이 되면서 정보인권 침해가 발생하지 않는 150종을 골라 우선 발굴·구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5세대(5G) 이동통신 서비스 기반 ‘스마트 팩토리’와 자율주행 체제 구축 등의 활성화를 위해 실증특례를 통한 시범사업으로 유선으로 돼 있는 정부의 업무용 네트워크를 5세대 이동통신으로 대체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다만, 온라인 수업 등을 위한 교실 네트워크는 와이파이 방식으로 구축할 예정이다.
김재섭 선임기자
js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