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플 등 댓글 문제를 해결하고자 댓글정책을 개선한 네이버가 ‘악플은 줄고 소통은 늘었다’는 자체 분석 결과를 내놨다.
네이버는 21일 블로그 ‘네이버 다이어리’를 통해 올 1월과 6월의 뉴스 댓글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네이버의 발표 내용을 보면, 올해 초보다 6월에는 규정을 위반해 삭제되는 댓글 건수는 63.3% 줄었고(악성 댓글 작성 감소) 그 영향으로 비공감 클릭은 21.5%, 신고는 53.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네이버는 “3월 ‘댓글 이력 공개’는 악성 댓글 작성 감소에, 4월 ‘특정인이 작성한 댓글 차단’과 6월 ‘클린봇 업그레이드’는 악성 댓글 노출을 줄이는 데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악플은 줄어든 반면 댓글 작성자 수와 콘텐츠 소비량은 늘었다는 내용도 있었다. “연초 대비 6월 댓글 수는 0.7% 감소했지만, 작성자 수는 8% 늘었다”며 “댓글 이력 공개, 본인 확인제 시행이 댓글 공간 위축을 가져올 것이란 우려가 있었지만 반대로 더 많은 사용자가 참여해 더 신중하게 다양한 목소리를 남기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회사 쪽은 설명했다. 또 댓글 이력이 공개되면서 다른 이용자의 ‘댓글 모음 페이지’ 방문이 4배 가량 증가했고, 이를 바탕으로 댓글 모음 페이지의 목록을 통해 다른 기사에 유입되는 경우도 22.5% 증가했다고도 했다.
네이버는 올 상반기 5차례 댓글정책을 개선했다. 지난 3월 19일 댓글 닉네임과 활동 이력을 공개를 시작으로 4월 9일에는 특정인의 댓글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도입했다. 21대 총선 기간 동안 적용했던 댓글 본인 확인제는 선거가 끝난 이후에도 잠정 유지 중이다. 그 밖에도 같은 휴대폰 번호를 쓰는 계정은 한 사람으로 보고 댓글 작성 등 참여를 통합적으로 제한하는 제도(5월 21일)를 시행했고 악플을 걸러내는 에이아이(AI) 클린봇 업그레이드(6월 21일)도 진행했다.
최민영 기자
mym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