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스토어’를 앞세워 국내 이커머스 시장에서 영향력을 키워온 네이버가 앞으로는 국외 시장에 부쩍 힘을 쏟을 태세다. 스마트스토어에 입점한 중소상공인들이 국외에서도 물건을 팔 수 있게 솔루션을 제공하고, 사업모델 자체도 일본 등 국외 시장에 적용하기로 했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이사는 2일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어 창작자와 중소상공인 관련 사업인 ‘프로젝트 꽃’의 5주년 성과를 설명하고 향후 사업 방향을 밝혔다. 한 대표이사는 “2016년 4월 네이버의 첨단 기술을 비즈니스 툴로 제공해 연간 1만명이 (네이버에서) 창업하도록 만드는 것이 목표였던 ‘프로젝트 꽃’이 42만 스마트스토어 창업으로 이어졌다”며 “다양한 툴 개발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새로운 플랫폼의 룰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네이버는 지난 5년 동안 중소상공인이 온라인 창업을 할 수 있는 스마트스토어 플랫폼을 만들었다면, 앞으로는 이 사업자들이 브랜드로 도약해 국외 시장에 뛰어들 수 있게 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올해 안에 동대문 기반 패션 업체들의 ‘글로벌 물류’를 성사시키는 것이 그 구체적인 내용 중 하나다. 김평송 네이버 사업개발실 리더는 이날 “동대문 기반 패션은 판매가 먼저 이뤄지고 물건을 사입하는 특징 때문에 배송의 예측 불가능성이 있다. 브랜디, 신상마켓 등 동대문 물류 스타트업과 이 문제를 풀고자 한다”며 “국내에서 먼저 동대문 패션상품이 특정 영업일 이내에 도착할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되면 일본 등 해외로 배송 범위를 넓힐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렇게 구축된 네이버의 사업모델과 기술은 제트홀딩스를 통해 해외 시장에도 적용된다. 지난 1일 라인·야후재팬의 경영통합을 발표하면서 이들의 중간 지주회사인 제트홀딩스는 올해 상반기 중으로 이들 회사의 서비스에 스마트스토어 모델을 적용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네이버는 제트홀딩스를 지배하는 전략적 지주회사 에이홀딩스를 통해 네이버의 기술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만든 각종 사업도구와 플랫폼을 글로벌 시장에 적용할 방침이다. 한 대표이사는 “네이버의 기술 솔루션이 국내를 넘어 글로벌에서 성공 경험을 만들기 위한 도전”이라며 “기술 플랫폼인 네이버의 기술이 글로벌 시장에 도입되는 사례는 앞으로도 계속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스마트스토어 모델의 일본 진출 등 네이버의 해외 사업 확장에 대해 이승훈 아이비케이(IBK)투자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플랫폼 기업으로서 네이버가 재평가될 것”이라며 “인공지능(AI) 기반 검색엔진, 스마트스토어, 테크핀 플랫폼이 야후재팬과 결합되면 국내시장보다 4배 이상 큰 검색과 전자상거래 분야에서도 경쟁 우위를 가질 것으로 본다”고 분석했다.
최민영 기자
mym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