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 중계 대비 대중화 나서… “모바일TV 규격 경쟁서 우위”
월드컵 기간의 ‘모바일 티브이’ 시장을 겨냥해 국산 디엠비 기술이 5월부터 독일 8개 도시를 공략한다.
독일은 6월 월드컵 개막을 앞두고 5월부터 수도 베를린을 비롯해 뮌헨, 쾰른 등 8개 도시에서 지상파 디엠비 본방송을 개시한다고 정보통신부가 20일 밝혔다. 독일은 지금껏 베를린 등 4개 도시에서 시험방송만 실시했으나 월드컵에 앞서 본격적인 디엠비 대중화에 나선 것이다. 현재 모바일 텔레비전 시장에서는 국산 디엠비와 유럽 노키아 주도의 DVB-H, 미국 퀄컴 주도의 미디어 플로 세가지 기술 표준이 경쟁을 하고 있다. 정통부와 우리 업계는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열풍에서도 엿보이듯, 큰 스포츠 게임이 새로운 미디어 서비스 확산의 기폭제라는 인식에 따라 월드컵 생중계 채비에 박차를 가해왔다.
DVB-H와 미디어 플로는 현재 상용 서비스가 시작되지 않은 터라 국산 디엠비 기술이 독일 대중들에게 먼저 다가가는 셈이다. 지상파 디엠비 사업 주체는 가입자 1천만명을 보유하고 있는 독일 3위의 이동통신 사업자 데비텔(Debitel)로, 방송 송출은 독일의 티-시스템즈가 맡게 된다. 독일은 지상파 디엠비 방송을 통해 공영방송인 ZDF 등 4개의 텔레비전 채널과 2개의 오디오 채널을 방송한다.
정통부는 “경쟁관계에 있는 DVB-H보다 먼저 유럽지역에서 본방송이 개시돼 향후 모바일 텔레비전 규격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게 됐다”면서 “독일의 지상파 디엠비 방송은 현재 디엠비 표준으로 시험방송을 실시하거나 본방송을 준비하고 있는 프랑스와 이탈리아에도 상당한 영향을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덴마크와 스웨덴도 4~5월 지상파 디엠비 시험방송을 실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정통부와 우리 업계는 비디오 시장에서 베타 방식과 VHS 방식의 표준 전쟁에서 보듯이 여러 사업자들의 기술표준 채택을 통한 초반 세 확산이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독일 데비텔은 삼성전자, 엘지전자와 계약을 체결해 오는 5~6월 디엠비방송 수신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를 공급받을 예정이다.
정세라 기자 seraj@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