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저장장치 이미지. 엘지(LG)에너지솔루션 제공
정부가 에너지저장장치(ESS) 분야에서 세계 3대 강국이 되겠다는 산업 발전전략과 목표를 내놨다. 제주도와 호남 등 재생에너지가 몰린 지역에서 송전망 제약으로 인한 출력제한 사례가 느는 상황에서 에너지저장장치 활성화를 통해 계통 불안정성을 완화할 수 있을지 관심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1일 강경성 2차관이 경기도 안양의 엘에스(LS)일렉트릭을 방문해 연 산학연 간담회에서 이런 내용의 ‘에너지저장장치 산업 발전전략’을 내놨다고 밝혔다. 에너지저장장치에 기반해 유연한 전력체계를 구현하고 2036년 세계 시장 35%를 점유해 미국, 중국에 이은 3대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게 뼈대다.
전 세계 에너지저장장치 시장 규모는 2022년 152억달러(20조5천억원)에서 2030년 394억달러(53조원)로 커질 전망이다. 미국이나 중국은 에너지저장장치 활성화를 추진 중이지만, 국내에선 전기차 등 화재 발생이나 지원 정책 축소로 시장이 위축되고 있다.
정부가 올해 초 확정한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2030년까지 필요한 에너지저장장치는 총 3.7GW(1GW는 통상 원전 1기 용량)다. 정부는 2025년부터 해마다 600㎿씩 선제적으로 에너지저장장치를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재생에너지가 몰려 계통 안정 확보가 급한 호남권에 먼저 2026년까지 1.4GW를 조달하고, 저탄소중앙계약시장을 통해 에너지저장장치 투자를 활성화하겠다는 구상이다.
최근 제주도에서 시범 실시된 저탄소중앙계약시장이 자리잡으면 전날과 당일 현물시장으로만 이뤄진 국내 전력시장이 주간, 월간, 연간 주기의 장단기 계약시장으로 확대된다. 간헐성을 갖는 재생에너지가 에너지저장장치와 함께 안정적으로 돌아갈 기반이 마련된다. 에너지저장장치의 경우 계약시장에서 낙찰되면 계통운영자인 전력거래소의 발전계획에 따라 충·방전 시간이 정해지고 사업자는 안정적으로 투자비를 회수할 수 있게 된다.
정부는 이와 함께 한국이 현재 세계 최고 기술력을 보유한 국내 주력 배터리인 삼원계 리튬전지의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중국 업체들이 주로 생산하는 리튬인산철(LFP) 전지의 양산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2030년 전후로 상용화가 예상되는 흐름전지, 나트륨황(NaS)전지는 조기에 시장 진입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저비용·고안전·대용량화가 가능한 압축공기저장, 열저장(카르노), 양수발전 등의 장주기 기술 관련 세계시장 선점 전략을 추진해 에너지저장장치 구성의 최적화를 이룬다는 전략이다. 산업부는 “10차 전기본 상의 계획량 외 추가로 양수발전 건설 가능성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또 산업용·주거용·이동형 에너지저장장치 보급을 확대하기 위한 신시장제도·세액공제·융자제 등 유인책(인센티브)을 마련하는 한편, 에너지저장장치의 화재 안전성과 재생에너지와의 연계 안전성을 평가·검증하기 위한 센터를 구축하고, 국내 안전기준의 국제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강 차관은 “전력계통 안정을 위한 에너지저장장치 보급은 반드시 필요하다.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산업발전 기반을 조성하는 등 에너지저장장치를 새로운 전략산업으로 육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기용 기자
xen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