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월드컵 기간 동안 집행된 광고비는 2002년 한일월드컵 대회 때의 절반에 못미쳤다. 광고업계가 울상을 지을만 한데, 한국 대표팀의 16강 탈락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23일 한국광고단체연합회가 발간한 광고계동향 7월호를 보면, 독일월드컵과 관련돼 집행된 광고비는 한일월드컵 때 광고비 4천억원의 45%인 1800억원으로 추산됐다. 전체 광고비 가운데 스폰서십·프로모션 비용이 1천억원으로 가장 많았지만 이 역시 2002년 2500억원의 40% 수준에 불과했다. 지상파 방송 광고비는 한일월드컵 때의 47%인 610억원이었고, 인터넷 광고비는 주요 포털사이트의 패키지 상품 판매에 힘입어 100억여원에 이른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월드컵 광고 특수가 줄어든 것은 주요 경기가 새벽시간이었던 이유도 있지만, 한국팀의 16강 탈락으로 기업들이 예정됐던 광고를 취소했기 때문이라는게 업계의 설명이다.
조성곤 기자 cs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