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포항제철소에서 열린 포스코 전기강판 공장 증설 종합준공식에서 권오준 회장이 축사를 하고있다. 포스코 제공
포스코가 전기자동차의 모터 등에 소재로 쓰는 전기강판 생산체제를 대폭 확대했다. 친환경 자동차와 고효율 가전제품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데 따른 대응이다. 전기강판은 일반강판보다 가격이 서너 배 비싸 고부가가치의 철강소재로 꼽힌다.
포스코는 20일 포항제철소에서 권오준 회장을 비롯해 포스코건설과 포스코아이시티(ICT), 설비공급업체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기강판 생산공장을 증설해 종합준공식을 열었다. 전기강판은 전기차의 구동모터코어와 청소기, 냉장고 등 고효율을 요구하는 가전제품, 산업용 대형발전기 등에 꼭 필요한 소재다. 이번 설비 확장으로 포스코는 생산 능력을 현재 연 8만t에서 16만t까지 늘릴 수 있게 됐다. 16만t은 260만대의 전기차에 구동모터코어를 공급할 수 있는 양이다.
포스코는 환경 문제로 인해 친환경 자동차와 고효율 가전제품의 생산이 늘어남에 따라 핵심 부품인 모터의 소재가 되는 최고급 전기강판 제품 수요가 지난해 80만t에서 2020년에는 100만t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권 회장은 “수요 증가와 시장의 요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최신 설비를 통해 경쟁력을 높일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포스코는 포항제철소 제2전기강판 공장에서 냉간압연 뒤 고열처리로 고급재를 생산할 수 있도록 최신설비로 교체했고, 제3전기강판 공장에는 소재를 열처리하고 표면산화층을 제거하는 설비를 업그레이드했다. 제2공장에 도입한 최신 압연기는 기존 0.27㎜ 두께보다 훨씬 얇은 0.15㎜ 두께의 강판을 생산할 수 있다고 포스코는 밝혔다.
홍대선 기자
hongd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