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울산 동구 한마음회관에서 열린 현대중공업 임시 주주총회에서 의장인 강환구 현대중공업 사장이 주총을 진행하고 있다. 현대중공업 제공
조선업 장기 불황 속에 세계 1위 조선소 현대중공업이 4월부터 조선, 전기·전자, 건설장비 등 6개 회사로 분할돼 독립법인으로 ‘각자도생’에 나선다.
현대중공업은 27일 울산 한마음회관에서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지난해 11월 이사회에서 조선?해양플랜트?엔진, 전기전자, 건설장비, 그린에너지, 로봇, 서비스 등 6개 회사로 사업을 분할하기로 의결한 안건을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4월부터 현대중공업은 조선·해양플랜트·엔진 사업을 영위하고, 신설 현대일렉트릭&에너지시스템(주)(가칭)은 전기·전자 사업을, 현대건설기계(주)(가칭)는 건설장비 사업을, 현대로보틱스(주)(가칭)는 로봇사업을 하는 독립법인으로 각각 분리돼 새롭게 태어난다. 6개 회사 중 현물출자 방식인 그린에너지와 서비스는 이미 지난해 12월 각각 현대중공업그린에너지(주)(현대중공업 계열 태양광 사업)와 현대글로벌서비스(주)(현대로보틱스 계열 선박 통합서비스사업)라는 신설회사로 출범해 편입된 바 있다.
강환구 현대중공업 사장은 이날 주총 인사말을 통해 “이번 사업분할은 장기화하고 있는 불황에서 각 사업의 역량과 가치를 최대한 끌어올리기 위한 결정”이라고 말했다. 회사 쪽은 “그동안 조선과 전혀 무관한 사업들을 ‘4인 5각’ 끈으로 한데 묶어두어 발생했던 비효율을 해소하게 됐다“며 “이제 독립법인 4개 회사가 개별 기업으로 세계 시장에 뛰어들게 됐다”고 말했다.
현대중공업은 이번 분사로 재무구조 개선 효과를 보게 됐다. 7조원이 넘는 차입금 중 3조원 이상을 분할되는 회사에 나눠 배정하면 3조9천억원 수준으로 차입금이 줄어들어 작년 말 106%이던 부채비율이 95% 수준으로 낮아진다. 현대중공업 쪽은 “재무 안전성이 높아지면 차입 여건이나 신용도가 개선되고 해외 수주에도 도움이 돼 현대중공업이 다시 한 번 세계 1위로 도약할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사업분할로 2만3천여명에 달하는 현대중공업 소속 인력 중 4천~5천명이 분할회사로 옮겨간다.
분할회사 중 가장 규모가 큰 두 알짜 회사는 비조선 분야 현대일렉트릭 앤 에너지시스템와 현대건설기계로 2016년 매출이 각각 2조1천억원에 이른다. 2015년 엔진기계사업부에서 분리된 현대로보틱스는 국내 유일의 산업용 로봇을 독자 개발해 생산 중이고 첨단의료용 로봇의 상용화도 앞두고 있다. 현대중공업 주식은 3월 30일부터 5월 9일까지 거래가 정지되며, 재상장되는 현대중공업과 신설회사의 주식은 5월 10일부터 거래가 시작된다. 조계완 기자
kyewan@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home01.html/◎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