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첫 용융 망간합금철 이용
제강공정 소요시간 절반 단축
생산효율 10% 이상 높여
제강공정 소요시간 절반 단축
생산효율 10% 이상 높여
포스코가 액화천연가스(LNG)탱크와 같은 극저온 환경에 사용되는 고망간 강재를 생산하는 독자 공정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포스코 기술연구원은 ‘용융 망간합금철을 이용한 고망간강 생산 프로세스’의 상업생산 테스트를 끝내고 광양제철소 후판부에 최종적으로 설비와 운전 업무를 이관했다고 12일 밝혔다. 기술 개발에는 2013년부터 4년 동안 550억원의 연구개발비가 투입됐다.
이 기술은 용융 상태의 망간합금철(FeMn)을 보관할 수 있는 특수 보온로 설비를 활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동안 고망간 강재는 제강공정(용광로에서 나온 쇳물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특수한 성질을 부여하는 공정)에서 고체 상태의 망간합금철을 쇳물에 녹여 생산해왔다. 이때 고체 상태의 망간합금철을 전로(쇳물을 담아두는 큰 용기)에 투입하면 쇳물의 온도가 하락해 다시 전로의 온도를 올려줘야 하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에너지 비용이 발생했고 공정시간도 길었다. 여기에 녹이는 과정에서 망간산화물이 발생해 전로 내부 내화물이 심각하게 마모되는 단점도 있었다.
포스코는 독자 개발한 특수 보온로 설비(PosLM)로 용융 상태의 망간합금철을 보관할 수 있게 되면서 고망간 강재 생산에 필요한 제강공정 소요시간을 절반으로 단축시켰다. 포스코는 엘앤지탱크용 극저온 인성용 강재, 에너지수송용 내마모강재, 변압기 외함용 비자성강재 등 철강 제품에 신기술을 적용할 계획이다. 포스코는 “고망간강용 슬라브 생산 효율을 10% 이상 높일 수 있어 수익성도 크게 끌어올릴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홍대선 기자 hongds@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home01.html/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