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남구 고사동에 위치한 SK종합화학의 넥슬렌 공장 전경. SK이노베이션 제공
정유업계가 지난 1~3월에 수출한 석유제품 물량이 1분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대한석유협회는 26일 에스케이(SK)에너지, 지에스(GS)칼텍스, 에쓰오일(S-OIL), 현대오일뱅크 등 국내 정유업계가 지난 1분기에 수출한 석유제품은 1억1778만 배럴로 전년동기 대비 6.5% 증가했다고 밝혔다. 작년 1분기(1억1064만 배럴)를 넘어 역대 가장 많은 수치다. 금액으로 보면, 1분기 석유제품 수출액은 74억5800만 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66% 증가했다. 국제유가 상승으로 석유제품 수출단가가 지난해 1분기 배럴당 40.6달러에서 올 1분기에 63.3달러로 높아졌기 때문이다.
최대 석유제품 수출국은 중국으로, 1분기에 2172만 배럴(전체 수출의 18%)을 수출했다. 이어 싱가포르(15%), 호주(12%), 일본(9%), 대만(8%), 미국(7%) 순이었다. 석유제품별로는 경유가 4327만7천 배럴(전체의 37%)로 가장 많았고, 뒤 이어 휘발유(19%), 항공유(19%), 나프타(10%) 순이었다. 고부가가치 경질유 위주로 수출하고 있는 셈이다.
특히 중국에 대한 경유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중국 시장에서 저유황 고품질 경유 수요가 증가하면서 1분기에 중국으로의 경유 수출물량은 436만 배럴을 기록했다. 작년 1분기에 견줘 96%나 증가했다. 반면 중국산 경유의 수입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1분기 정유공장 가동율이 101.9%”라며 “올해 국제유가 상승이 예상돼 수출물량이 지속적으로 늘어난다면 석유제품 연간 수출액 300억 달러 달성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계완 기자
kyewan@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home01.html/◎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