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립 13주년을 맞은 제주항공이 올해를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사업기반 구축의 해’로 정하고, 경쟁사와는 차별화된 1등 저비용항공사(LCC)로 발돋움한다는 목표를 밝혔다.
제주항공은 25일 서울 강서구 메이필드호텔에서 창립 13주년 기념식을 갖고 이 같은 사업전략을 밝혔다.
기념식에 참석한 안용찬 부회장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새롭고 다양한 사업에 대한 시도가 필요하다”며 “우리는 ‘왜 제주항공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물음에 자신 있게 답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나라 항공산업 지형과 여행의 형태를 변화시킨 개척자의 자세로 과감하게 새로운 시도를 한다면 경쟁사들이 우리의 외형은 따라오겠지만 본질은 절대 쫓아올 수 없는 강력한 차별화 요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석주 사장은 “우리나라 항공산업의 개척자로서 1등 저비용항공사(LCC)로 발돋움했지만, 지금은 많은 변수들로 인해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우리의 변화 지향점을 ‘투 비 디퍼런트 넘버 원(To Be Different No. 1)'으로 잡고자 한다”고 선언했다. 이 사장은 이를 위해 중장기 사업모델의 재구축, 조직풍토의 강화, 충성고객 창출 등 3대 핵심과제를 달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주항공은 올해 8대의 항공기를 도입해 연말까지 총 39대를 운용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올해 도입하는 항공기 8대 중 3대를 보잉에서 직접 구매해 운용리스 구조에서 발생하는 운영비, 유지와 보수에 필요한 비용 등의 원가를 대폭 축소한다.
제주항공은 또 중국·일본과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신규노선을 지속적으로 늘려 다양한 노선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경쟁력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지방공항을 중심으로 국제선 신규취항 및 부정기편 운항 확대를 통해 지방공항 활성화는 물론 해당 지역의 잠재여객 수요를 끌어낸다는 방안을 내놨다.
안정적인 중장기 사업모델 구축을 위한 신규사업 확장에도 적극 나선다. 연내 개관을 준비하고 있는 호텔사업과 시너지를 창출해 후발주자와 사업모델의 차별화에 나선다.
제주항공은 안전운항을 위한 인프라와 이용자 편의는 물론 4차산업혁명 시대 도래 등 새로운 경영환경에 걸맞은 아이티(IT) 투자도 확대한다.
고객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항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대대적인 IT 투자를 통해 고객 접근성 및 사용성을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세부적으로 모바일 환경 고도화를 통해 여행 큐레이션 서비스, 여행정보 제공 등의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 고객 만족도를 높인다는 방안이다.
그 밖에도 상용고객 우대프로그램인 ‘리프레시(Refresh) 포인트’의 사용성과 멤버십 제휴처 확대 등에 적극 나설 예정이다. 또 기존 멤버십 등급 세분화를 통해 보다 많은 고객이 혜택을 얻을 수 있도록 개선할 계획이다.
제주항공은 올해 약 500여명 규모의 신규채용을 계획하고 있다. 지난해에도 약 500여명을 신규채용한 제주항공은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성장을 통해 취업절벽을 해소하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로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특히 빠른 의사결정과 신속한 실행이라는 제주항공만의 강점을 극대화 하기 위해 조직 개편을 통한 조직 슬림화, 직급 및 호칭 파괴를 통한 유연하고 빠른 수평·자율 조직 정착에도 힘쓸 계획이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창립 13주년을 맞은 2018년은 새로운 5년을 준비하는 원년이 될 것”이라며 “기단 확대와 신규사업 확장을 통한 사업모델 구축, 고객경험 개선을 통한 충성고객 창출, 사람중심 경영을 통한 조직풍토 강화 등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다지는데 속도를 올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수진 기자
jjinpd@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