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지(LG)화학이 전기차에 이어 노트북용 배터리에서도 값비싼 코발트 비중을 줄이는 신기술을 개발했다.
엘지화학은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신기술을 적용해 배터리의 원재료 중 하나인 양극재 내 코발트 함량을 기존 제품 대비 70% 이상 줄인 ‘노트북용 저코발트 배터리’ 판매 비중을 대폭 확대한다고 27일 밝혔다. 현재 전체 배터리 매출의 10% 가량인 저코발트 배터리 판매 비중을 내년까지 40%로 올리고, 2020년에는 60%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노트북 등 기존 정보기술(IT)기기용 배터리에는 코발트 함량이 100%인 ‘LCO(리튬코발트산화물) 배터리’가 주로 적용돼왔는데, 저코발트 배터리는 삼성분계로 불리는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로 코발트 함량이 기존 제품 대비 20~30%에 불과하다. 양극재는 배터리 4대 원재료 중 하나로, 배터리 원가의 35~40%를 차지한다. 2017년 기준으로 전 세계 배터리에 사용된 코발트는 약 5만t이며, 이 가운데 노트북·스마트폰과 같은 정보기술기기 배터리에 사용된 양은 총 3만t에 달한다.
코발트는 2016년에 t당 2만~3만달러이던 가격이 올해 3월 9만5500달러까지 치솟을 정도로 가격 변동성이 큰데다, 주요 산지인 콩고민주공화국의 내전 등으로 공급이 원활하지 못할 위험도 많다. 엘지화학은 “전지산업 전반에 걸쳐 코발트 사용량 저감에 기여하겠다”며 “배터리 기술력을 바탕으로 소형전지 사업에서 2020년까지 양극재 내 코발트 함량이 5% 이하이면서 니켈 함량은 90%에 달하는 ‘하이-니켈(High-Nickel) 배터리’까지 양산하는 목표를 세웠다”고 말했다.
조계완 기자
kye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