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베트남 하이퐁 캠퍼스
평택공장 6월부터 물량 축소, 연내 가동 중단
베트남 하이퐁 이전…국내 콘트롤타워 유지
15분기 적자 기록한 스마트폰 수익성 개선 목적
베트남 하이퐁 이전…국내 콘트롤타워 유지
15분기 적자 기록한 스마트폰 수익성 개선 목적
엘지(LG)전자가 국내 스마트폰 생산라인을 베트남으로 옮긴다.
24일 전자업계 말을 종합하면, 엘지전자는 올해 6월부터 경기도 평택 공장의 스마트폰 물량을 줄여 연내 가동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이 물량은 베트남 북부 하이퐁 공자에서 생산하게 된다. 공장 이전은 수익성 개선을 위해서다. 엘지전자 스마트폰 사업은 지난해 4분기까지 15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했고 누적 적자가 3조원에 이른다. 엘지전자는 현재 경기도 평택, 베트남, 인도, 브라질, 중국(2곳) 등 모두 6곳에서 스마트폰을 생산하고 있다.
모두 1400여명이 근무하는 평택 공장은 주로 프리미엄폰을 생산하며 엘지전자 전체 스마트폰의 15%가량을 만들어온 글로벌 생산기지 콘트롤타워다. 베트남으로 이전하는 것은 생산라인이며, 콘트롤타워는 그대로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이퐁에는 엘지 주요 계열사 공장이 모여있다.
엘지전자는 국내 스마트폰 생산 인력은 창원 등 국내 다른 가전 생산 사업장으로 전환 배치할 계획이다. 공기청정기, 건조기, 의류관리기 등 수요가 높은 신가전라인으로 재배치해 효율화를 꾀하려는 전략이다. 엘지전자는 그동안 스마트폰 부문인 엠시(MC)사업본부 인력을 다른 사업부로 전환배치하며 몸집을 줄여왔다. 올해 상반기 공채에서도 엠시사업본부는 신입사원을 채용하지 않는다.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 집계로,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국내 생산 비중은 2008년 11.4%에서 2018년 1.3%로 줄어들었다. 지난해 기준으로 중국 생산 비중은 70%이고 인도와 베트남은 13%, 10%가량이다.
신다은 기자 down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