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왼쪽 셋째)이 지난 8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첨단산업 세계공장 도약을 위한 소재ㆍ부품ㆍ장비 2.0 전략 관련 관계부처 합동 브리핑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성 장관은 브리핑을 통해 “핵심전략기술 분야에 특화된 소재·부품·장비 으뜸기업 100개를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정부가 첨단산업 세계공장 유치 및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강국 도약을 위한 ‘소부장 2.0 전략’을 내놓았다.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에 따른 각국의 격리·봉쇄와 미-중 무역분쟁, 일본의 수출규제 등으로 기존의 글로벌 공급망(GVC) 구조가 해체되는 가운데, 일본·중국 등 기존 공급망 의존도를 줄이고 외부 충격에 흔들리지 않는 소부장 국내 생산망을 구축하겠다는 뜻이 담겼다.
9일 산업통상자원부·기획재정부·중소벤처기업부 등이 발표한 ‘소부장 2.0 전략’을 보면, 공급망 중점 정책관리 대상이 기존 대일본 100대 품목에서 차세대 기술을 포함한 대세계 ‘338개+α’ 품목으로 확대된다. 반도체 등 첨단형 158개와 자동차·전자전기 등 범용형 180개 이외에 별도로 디스플레이, 2차전지, 로봇 등이 대상이다. 글로벌 차원의 공급안정성과 산업안보 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추가 선정한 238개 품목의 공급망 관리지역을 보면 중국 90개, 미국·유럽 91개, 인도·대만·아세안 57개다.
정부는 2022년까지 차세대 전략기술 개발과 확보에 5조원 이상을 우선 집중투자하고 미래차·반도체·바이오 등 빅3 산업에 2조원(2021년) 규모의 추가 투자에 나서기로 했다. 또 올해 하반기에 소부장 벤처펀드를 1100억원 규모로 조성해 소부장 선도기업에 중점 투자하고, 800억원 규모의 차세대 산업기술정책 펀드도 조성한다. 정부는 첨단산업 유치와 기업 유턴에 소요되는 보조금 및 인프라 구축에도 앞으로 5년간 1조5천억원의 재정을 투입하기로 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경기도 이천 에스케이(SK)하이닉스 반도체 공장에서 열린 소부장 2.0 전략 관련 ‘연대와 협력 협약식’에서 “일본의 부당한 수출규제 조치가 1년째 이어지고 있지만 단 한 건의 생산 차질 없이 위기를 잘 극복했다”며 “대한민국은 글로벌 첨단 소재·부품·장비 강국으로 도약해 갈 것이고, 글로벌 공급망 안정에 기여해 국제사회와 협력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조계완 성연철 기자
kye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