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년 동안 국내 기업들 가운데 전자상거래, 유통, 제약 등 7개 업종의 국내 1위 기업이 세계 1위 기업과 매출 격차를 좁혔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기업평가 사이트인 시이오(CEO)스코어는 2014년~2019년 국내 주요 19개 업종별 매출 순위 1위 기업과 글로벌 매출 순위 1위 기업의 매출을 비교한 결과, 모두 7개 업종에서 국내 대표 기업이 글로벌 1위 기업과 매출 격차를 좁힌 것으로 나타났다고 5일 밝혔다. 7개 업종은 화학·제약·전자상거래·자동차·식음료·유통·화장품 등이다.
지난 5년 동안 매출 증가율이 가장 높은 업종은 전자상거래였다. 이 부문의 국내 매출 1위 기업인 쿠팡은 2014년 3485억원이었던 매출이 5년 만에 7조1531억원으로 무려 1952.5% 급증했다. 이 부문 글로벌 1위 기업인 아마존의 경우 지난해 매출이 326조9905억원으로 5년전(93조7239억원)보다 248.9% 증가했다. 쿠팡과 아마존의 매출 격차는 5년 전 268.9배에서 2019년 45.7배로 좁혀졌다.
식음료 부문은 씨제이(CJ)제일제당이 5년 전에 비해 매출이 91% 늘어난 데 비해 글로벌 기업인 네슬레는 같은 기간 3% 증가에 그치면서 매출 격차가 9배에서 4.9배로 좁혀졋다. 제약회사인 유한양행과 유통회사인 이마트의 매출도 5년 동안 각각 45.5%, 44.9% 늘며 글로벌 1위 회사와의 격차를 줄였다.
반도체 업종을 보면, 국내 반도체 1위 삼성전자의 반도체 부문 매출은 2014년 39조7299억원에서 2019년 64조9391억원으로 63.5% 늘었고 반도체 글로벌 1위 인텔은 2014년 58조8434억원에서 2019년 83조8860억원으로 42.6% 증가했다. 5년 전과 지난해 매출만 놓고 비교하면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의 매출이 인텔에 뒤지지만, 매출액을 1년씩 따로 떼어놓고 보면 2017년과 2018년 2년 간은 삼성전자가 반도체 부문 글로벌 매출 1위를 기록하는 등 인텔과 매출 1위를 놓고 엎치락뒤치락하는 상황이다.
휴대폰 부문은 5년 동안 글로벌 1위와의 격차가 오히려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와 애플의 휴대폰 부문 매출 격차는 2014년 1.7배에서 2019년 2.8배로 더 확대됐다.
송채경화 기자
kh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