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부유식 풍력발전단지 조감도. 한국석유공사 제공
풍력·가스복합발전·원전해체·태양광 사업을 중심으로 경남, 경북, 부산·울산, 충북 지역 일부가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로 추가 지정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열린 에너지위원회 심의에서 경남 창원국가산업단지 일원 28㎢, 경북 영덕군 영덕읍·축산면과 포항시 지곡동 일원 등 총 10.4㎢, 부산·울산의 온산 및 녹산국가산단 일부 총 20㎢, 충북의 충북혁신도시 중심 반경 20㎞ 이내(27.7㎢) 등 4개 지역을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로 추가 지정했다고 밝혔다.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는 지역별로 특화된 에너지산업 지역에 연관 기업·기관·연구소가 집적돼 생산 비용감소와 기술혁신 같은 융복합 효과를 가져오는 클러스터다. 산업융합거점지구(코어지구)와 연구교육거점지구(연계지구)가 조성되며,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신청을 받은 뒤 평가·심의를 거쳐 선정한다.
경남의 중점산업은 가스복합 화력발전으로, 산업생태계 조성의 주된 목적은 한국형 가스복합발전 개발 및 사업화다. 경북(풍력)은 육상풍력단지 조성, 부산·울산(원자력)은 원자력 및 원전해체 산업의 글로벌화와 원자력산업 전주기(건설·운영·해체) 기술개발, 충북(태양광)은 에너지효율향상(ESS) 및 스마트그리드(IoE) 생태계 조성이 목적이다. 에너지 융복합단지에 입주한 에너지 기업에는 지방세 감면, 정부 연구개발(R&D) 가점 부여, 지역투자촉진보조금 우대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에너지위원회 위원장)은 이날 “융복합단지는 지역이 주도하는 그린 뉴딜의 대표 사례”라며 “지역의 에너지 인프라를 기반으로 우수한 기업과 연구소를 유치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해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해 11월에는 전북 새만금 일원 24㎢(태양광·풍력)와 광주·전남 혁신도시 등 18.9㎢(스마트그리드, 에너지 효율향상)가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로 최초 지정된 바 있다.
조계완 기자
kye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