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각종 산업활동 전 과정(제품의 개발·생산·유통·소비)에서 생성되는 ‘산업 데이터’를 기업이 광범하게 공급·활용하도록 지원해 우리 산업 전반에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2차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 겸 제14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디지털 기반 산업혁신성장 전략’을 발표했다. 대기업-중견기업-중소기업 협업에 기초해 산업 전반에 D·N·A(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하고, 산업 밸류체인 전체 과정에 디지털 혁신을 빠르게 확산시킨다는 전략 구상이다. 3대 추진 과제로 △업계 수요에 기반한 적시적이고 적절한 산업 데이터 ‘활용’ 지원 △데이터·인공지능(AI)을 활용한 산업 밸류체인 고도화 △산업 디지털 혁신 인프라 구축 등이다. 산업 데이터는 산업활동 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로, 구조화되지 않은 비정형의 수치·텍스트·이미지‧소리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다. 한국정보화진흥원에 따르면, 빅데이터 활용률은 제조업(0.9%, 2018년)이 금융(20.5%)·통신(7.4%)·유통(2.2%)보다 훨씬 낮다. 산업 데이터는 기업 영업비밀 성격을 갖고 있는데다 범위가 다양하고 방대해 기존의 기술·방식으로는 활용하기 어려운 면이 있는데, 정부가 앞장서 인프라·기술을 지원하고 법적 기반도 개정해 ‘산업 전반에 걸친 활용’에 나선 셈이다.
특히 업종별 산업 데이터 수집·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업종별 데이터 특성과 협업 유형을 고려한 ‘문제 해결형 산업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한다. 업계 수요에 기반한 디지털 전환 과제를 도출한 뒤에 데이터 확보→솔루션 개발→활용체계 구축에 나서는 방식이다. 2025년까지 전기차·소재(금속·세라믹·섬유 등)를 비롯해 10대 주력산업의 30개 분야에서 이런 플랫폼 성공 선도사례를 조기 창출한 뒤 다른 산업분야로 확산하기로 했다. 생산 공정에서는 스마트야드·AI 제철소·디지털화력발전·지능형 신재생을, 제품·서비스에서는 자율주행차·자율운항선박·로봇·스마트홈 서비스를, 유통부문은 지능형 물류 공급망 등을 선도사례로 창출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산업지능화펀드(4000억원)를 조성해 선도기업에 60% 이상 집중 투자하고, 디지털 전환에 필수적인 4대 핵심 부품장비(지능형 반도체, 스마트 센서, 임베디드AI, AI융합 로봇)를 집중 개발한다.
정부는 “산업 전반에 걸쳐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산업데이터 활용, 대상, 범위, 주체에서 이전의 대책들과 차별성을 갖는다”고 설명했다. 산업 데이터 생산·확보 ‘공급’과 병행해 산업 현장에 ‘활용’하는데 역점을 두고 전기차·소재 등 파급효과가 큰 전략분야 중심으로 성공사례를 조속히 창출한다는 것이다. 대상도 개인정보 중심의 데이터 활용에서 벗어나 산업 데이터 활용에 중점을 두고, 개인 정보-공공 데이터-산업 데이터를 연계하고 아우르는 ‘데이터 생태계’ 구축에 나선다. 산업데이터 활용 범위도 제조 공정을 넘어 산업 밸류체인 전 단계에 걸쳐 적용해 다른 산업의 신제품·서비스·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기로 했다. 예컨대 선박제조업의 경우 산업 데이터를 활용해 스마트야드, 자율운항선박, 선박수리 등으로 제조-서비스 융합을 촉진한다.
공공 산업의 데이터도 개방·공유를 확대한다. 정부는 에너지(전력·열·가스)·특허·표준·시험인증 등 공공산업 각 분야별로 해당 데이터를 수집·분석하는 빅데이터 통합 플랫폼을 구축하고, 수집된 데이터는 개방해 ‘AI 기반 지능형 서비스’를 활용한 신제품·신서비스 창출을 촉진하기로 했다. 또 산업 데이터 활용·보호 원칙을 규정하고 디지털 전환 촉진 지원체계 구축을 위해 ‘디지털 기반 산업혁신성장 촉진법’을 제정하거나 기존 ‘산업융합 촉진법’을 개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조계완 기자
kye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