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가전제품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는 가운데 ‘보조 가전’을 찾는 고객이나 1인 가구를 위한 중소기업의 소형가전이 주목을 받고 있다.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집콕족’과 1인 가구 증가 등 소비 트렌드 변화에 따라 매출이 늘어나고 있는 중소 가전업체들이 적잖다. 그럼에도 마냥 콧노래를 부르는 것만은 아니다. 마케팅과 제품 수리 서비스망 구축 등이 힘겹다고 호소한다. 중소 가전업체를 겨냥한 맞춤형 정책 지원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크다.
김윤태 코트라(KOTRA) 해외진출상담센터장은 13일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엘지(LG)전자나 삼성전자만 가지고는 글로벌 시장에서 승부를 보는 것은 한계가 있다”며 “정부가 의지를 가지고 독려를 해주면 중견·중소 가전기업들도 충분히 틈새시장을 파고들어 가전 산업의 저변을 확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는 중소 가전업체를 위한 특화 정책은 거의 없다시피 한 상황이다. 중소 가전기업들의 매출 추이나 산업 동향을 살펴볼 수 있는 통계도 없다. 중소벤처기업부 담당자는 “업종별로 특화된 지원 정책은 없다”고 말했다.
중소 가전기업들은 정부의 지원 정책에 목마르다. 한 중소기업 관계자는 “저희 제품을 써본 고객들이 좋은 평가를 내려주고 있어서 더 많이 알리고 싶지만 마케팅 예산이 한정돼 있다 보니 한계가 많다”고 말했다. 높은 판매 수수료를 받는 온라인몰이나 소셜 마켓에 대한 불만도 크다. 이 관계자는 “일부 홈쇼핑 계열 종합몰의 경우 20% 이상의 판매 수수료를 제공해야 해 제품 판매를 중단했다”며 “최근 들어 중소기업 정책들이 많이 나왔다고는 하는데 어떤 것들이 있는지 무슨 혜택이 있는지 알기 어렵다”고도 말했다.
특히 제품 설치나 제품 수리 서비스가 중요한데 소규모 중소기업으로서는 전국적인 서비스망을 갖추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가정용 러닝머신을 판매하는 한 중소기업 관계자는 “사이즈가 큰 제품의 경우 문제가 발생하면 택배로 보내기 어려워 수리기사가 직접 방문해야 하지만,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망 서비스센터를 구축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며 “정부에서 지역 공공 서비스 센터를 구축하고 중소기업이 공동으로 입점하여 운영하는 형태의 허브를 만들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송채경화 기자
kh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