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소·중견기업군의 매출·수출·일자리가 2030년까지 우리 경제에서 30%를 달성할 수 있도록 혁신형 강소·중견기업 성장전략이 추진된다. 정부는 2024년까지 세계일류상품 생산 기업 1000개, 디지털·그린뉴딜 및 소부장(소재·부품·장비) 등 차세대 유망기업 1만2000개, 지역경제 선도기업 600개 육성에 나서기로 했다.
정부는 1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열고 관계부처 합동으로 ‘혁신형 강소·중견기업 성장전략’을 발표했다. 허리층 기업군(기술혁신형 중소기업 및 중견기업)의 우리 경제기여도는 2018년 기준으로 매출액, 수출액, 일자리에서 각각 21.5%, 24.5%, 21.3%다. 이번 성장전략은 세 부문 모두 2030년에 30%를 달성하는 목표를 제시했다. 성장의 첫 관문인 ‘매출 100억원 허들’을 돌파할 수 있도록 인력·정책자금·연구개발·판로에서 지원기반을 확충한다. 성장 중소기업에 대한 시설투자 자금지원을 올해 8300억원에서 내년 1조1500억원으로 확대하고 지식재산(IP)담보대출도 올해 1조원에서 내년 1조4000억원 규모로 늘리기로 했다.
지역·사회의 발전을 선도하는 앵커기업 육성에도 나선다. 2022년까지 지역산업 생태계를 선도하는 중견·강소기업 600개(지역대표 중견기업 100개, 지역혁신 선도기업 500개)를 발굴해 연구개발·사업화·자금을 집중 지원한다. 특히 한국판 뉴딜과 지역균형뉴딜 등에 맞춰 지역 주력산업을 재편·특화하기로 했다. 또 전통사업 및 내수중심에서 탈피해 월드베스트 글로벌 전문기업으로 도약을 위해 총 1조5천억원을 투자해 ‘월드클래스300’ 사업을 2단계로 확대 추진한다. 중소·중견기업 제품 중에 혁신성·공공성이 높은 상품을 ‘혁신제품’으로 선정해 공공기관 우선구매 등 세계시장 진출을 위한 납품실적 확보를 지원하기로 했다. 2024년까지 세계일류상품 생산 중소·중견기업 1000개 달성(2019년 698개)를 목표로 내걸었다.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도 구축한다. 해외 혁신기업·기관과 공동연구를 기반으로 글로벌시장에 진출하려는 중견·강소기업을 위해 독일·이스라엘·러시아 등 소부장 강국에 기술협력거점을 구축하고 연구개발 및 사업화를 지원한다.
또 디지털·그린 뉴딜 및 소부장 등 국가 핵심전략분야 유망기업 1만2000개를 2024년까지 발굴·육성할 계획이다. 태양광·풍력 등 에너지 혁신기업 3500개, 기술 기반 벤처·스타트업 3100개, 소부장 으뜸·강소·스타트업 400개 등을 지원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소부장 기업 등 혁신형 중소·중견기업을 선정해 특례보증(30억원→150억원)을 지원하고, 초기 중견기업의 연구소 설립에 지방세 감면을 확대하기로 했다.
현재 중소·중견기업 성장은 정체돼 있다. 중소기업부문 전체기업 중 매출액 100억원 미만 기업이 95%로 대다수이고, 매출액이 늘어 중소기업에서 중견기업으로 성장한 기업은 매년 10개(순증) 안팎에 불과하다. 세계일류상품 생산기업(세계시장점유율 5위 이내 상품 생산 또는 수출실적 국내 3위 이내)도 2017년 이후 중소·중견기업에서 증가세가 둔화하고 있다. 정부는 “그동안 강소·중견기업 육성을 추진해 왔으나 성장이 정체돼 있어, 허리가 튼튼한 항아리형 경제 주역인 강소·중견기업에 대한 신성장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한국판 뉴딜의 실행과 대-중소기업간 양극화 해소도 강소·중견기업의 역량에 달려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번 성장전략을 추진하는 ‘글로벌 강소·중견 성장지원단’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구성하기로 했다.
조계완 기자
kye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