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승식 산업통상자원부 무역투자실장(오른쪽)이 지난 4월28일 서울 염곡동 KOTRA 영상회의실에서 열린 ‘민관합동 유턴지원반 출범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올해 해외에서 국내로 돌아온 유턴기업은 24개로 지난해(16개)보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로 나갔던 수요기업과 공급기업이 함께 국내로 돌아오는 ‘동반 협력형 유턴’ 기업에게는 보조금 지원을 받기 위한 해외사업장 축소요건이 10%로 완화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개최한 ‘유턴 활성화를 위한 업계 간담회’에서 올해 유턴기업은 24개라고 밝혔다. 지난해(16개)보다 8개 기업이 늘었다. 자동차·화학 등 주력업종(12개→15개)과 중견기업(4개→6개)의 유턴이 증가했다. 연도별 유턴기업은 2014년 20개→2015년 3개→2016년 12개→2017년 4개→2018년 9개 등이었다.
정부는 최근 발표한 내년도 경제정책방향에서 협력형 유턴에 대해 해외사업장 축소요건을 25%에서 10%로 완화하고, 보조금 지원 비율을 5%포인트 더 높여주는 조치를 상반기안에 완료하기로 했다. 앞서 지난 22일 공포된 유턴법 개정안에는 국가 감염병 대응역량 강화를 위해 유턴 지원 대상에 기존 제조업·정보통신업·지식서비스업에 더해 ‘방역·면역 산업’이 추가됐다. 향후 보건복지부, 질병관리청 등과 협의해 구체적인 산업을 대통령령에 규정할 예정이다.
이 개정안은 또 첨단 업종 및 핵심 공급망 품목의 경우 해외사업장 축소 요건을 아예 면제해주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서 코트라는 해외진출기업의 국내복귀 지원업무를 전담하고, 산업단지공단은 산업단지 관리 및 국내 복귀 투자보조금 지원을,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산업단지 등 다양한 입지를 제공하기로 했다. 세 기관이 협력형(동반) 유턴 후보기업을 공동 발굴해 지역별·업종별 입지정보를 적시 제공하고 동반 입주를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조계완 기자
kye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