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케이(SK)텔레콤와 케이티(KT), 엘지(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는 4일 코로나19 위기 속에서 이동통신사의 책임과 사명을 언급하며 고객 중심의 경영과 함께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등 새로운 성장동력을 강조하는 신년사를 내놨다. 지난해부터 이어져 온 이통3사의 ‘탈통신’의 흐름이 올해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에스케이텔레콤의 박정호 사장은 이날 비대면 온택트 신년인사회를 갖고 “AI 혁신과 ESG(환경·사회적책임·지배구조) 경영을 통해 사랑받는 빅테크 기업이 되자”고 제안했다. 이날 행사는 에스케이텔레콤이 자체 개발한 실시간 영상전송 프로그램인 ‘티(T)라이브캐스터’를 통해 양방향 참여형 중계로 진행됐다. 박 사장은 인공지능의 확산과 함께 서로 다른 산업과의 협력을 강조했다. 그는 “에이아이가 회사의 모든 업무와 대고객 서비스의 혁신 기반이 되어야 한다”며 “다양한 영역의 국내외 기업들과 과감하게 협력할 수 있는 개방적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팬데믹 상황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분들께 우리의 ICT(정보통신기술) 역량을 통해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자. 사회 구성원과 이해관계자들에게 사랑받는 빅테크 기업이 돼야 한다”며 ESG 경영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케이티 구현모 대표는 서울 광화문 케이티 이스트빌딩에서 최장복 노조위원장 및 직원 50여명과 함께 ‘라이브 랜선 신년식’을 열었다. 구 대표는 이 자리에서 “KT는 보통의 대기업과 달리 국가와 사회가 어려움에 처했을 때 앞장서야 하는 기업”이라며 “불확실성이 커진 지금, 우리의 역량과 기술, 열정으로 혁신의 돌파구를 만드는 선도 회사로 거듭나야 한다”고 말했다. 케이티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통신기반의 디지털 플랫폼 기업을 뜻하는 ‘디지코(Digico)’로 전환이 필요하다는 점도 밝혔다. 구 대표는 “모든 기업과 산업이 디지털 전환을 서두르는 지금은 큰 기회로, 차별화된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경쟁력을 바탕으로 타 산업의 필요를 채워줄 수 있다면 새로운 성장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엘지유플러스 황현식 사장도 이날 서울 강남에 있는 복합문화공간인 ‘일상비일상의틈’에서 촬영한 영상을 통해 ‘고객중심’을 강조한 신년메시지를 전달했다. 황 사장은 “모든 변화의 시작은 고객”이라며 “우리 임직원 모두가 고객에 집중하고, 소위 고객에 ‘미쳐야’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신산업을 통해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황 사장은 “컨슈머(소비자)사업에서는 경쟁력 있는 콘텐츠와 고객의 데이터를 통해 광고·구독형서비스 등 연관사업으로 확장하고, 기업사업에서는 스마트팩토리·자율주행 등의 분야에서 경쟁력 있는 솔루션을 확보해 사업화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내야 한다”고 주문했다.
송채경화 기자
kh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