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9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이정배 반도체산업협회장, 이석희 SK하이닉스 사장, 최창식 DB하이텍 부회장, 허염 실리콘마이터스 회장, 이창한 반도체산업협회 부회장과 함께 ‘반도체산업협회 회장단 간담회’를 열고 있다. 산업부 제공
글로벌 공급망이 요동치고 있는 반도체업계가 국내 제조시설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을 늘려 달라고 정부에 건의했다.
9일 반도체협회 회장단은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주재로 열린 반도체업계 간담회에서 ‘반도체 산업 발전을 위한 산업계 건의문’을 정부에 전달했다. 건의문은 국내 반도체 제조시설 구축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을 늘리고, 반도체 초격차를 이끌어 갈 인재 양성·공급에 힘써달라고 요청했다. 구체적인 지원책 예시로는 △연구개발(R&D) 및 제조시설 투자 비용의 50%까지 세액공제 확대 △반도체 제조시설 신·증설시 각종 인허가 및 전력·용수·페수처리시설 등 인프라 지원 △원천기술개발형 인력양성 사업의 조속한 추진 △수도권 대학의 반도체 관련 학과 신설 및 정원 확대 등을 제시했다.
이번 간담회는 전 세계적인 반도체 공급 부족 현상과 주요국의 반도체 산업 육성 정책 등 업계의 주요 동향을 공유하고 반도체 산업의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정배 반도체협회 회장(삼성전자), 이석희 SK하이닉스 사장, 최창식 DB하이텍 부회장, 허염 실리콘마이터스 회장, 이창한 반도체협회 부회장이 참석했다.
간담회에서 정부와 업계는 최근 전 세계적인 반도체 공급 부족 현상과 관련해 우리나라가 글로벌 반도체 생산기지로서 안정적 공급을 통해 세계 경제 회복에 기여한다는 데 공감했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세계 반도체시장 점유율은 D램 71%, 낸드 45%, 첨단 파운드리 40% 등이다.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와 차량용 반도체 부족 대응 방안, 차세대 전력반도체·인공지능(AI) 반도체와 같은 신시장 개척도 의견을 나눴다. 성윤모 장관은 “업계의 건의 사항을 반영해 우리 반도체 산업 생태계 강화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공급망 대책(K-반도체 벨트 전략)을 수립해 조만간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조계완 기자
kye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