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한겨레> 자료 사진
고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상속인들이 28일 오전 상속 내용을 공개한다. 고인의 장남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비롯한 상속인들은 별도의 기자회견 없이 삼성전자를 통해 보도자료를 내는 형식으로 상속 관련 내용을 밝힐 것으로 27일 확인됐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구체 내용에 대해선 알지 못하고 아직 통보받지 못한 상태”라고 말했다.
상속 내용 발표를 앞둔 시점에서 핵심 관심사는 이 회장의 부인인 홍라희씨, 이재용 부회장, 장녀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차녀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 등 상속인들 사이에 유산이 어떻게 나뉘었는지 하는 점이다.
삼성물산 지분(17.33%)을 통해 삼성그룹을 지배하고 있는 이 부회장의 몫을 키워 지배력을 강화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지만, 법정 상속 비율대로 나누는 방안을 따를 것이란 분석도 남아 있다. 세금을 절약할 수 있는 방안인 데다 가족 지분을 통해 그룹에 대한 실질적인 지배력을 어차피 행사할 수 있다는 데 바탕을 두고 있다.
재계와 증권가 추정으로 13조원 안팎에 이르는 상속세의 재원을 어떻게 조달해 납부하게 될지에 대한 관심도 높다. 삼성전자 지분을 일부 매각해 세금으로 낼 돈을 마련할 것이란 관측과, 그보다는 상속받은 주식이나 부동산 따위를 담보로 맡겨 대출을 받는 선택을 하게 될 것이란 전망이 아울러 나온다. 가족 전체적으로 삼성전자를 비롯한 계열사들로부터 해마다 받는 1조원 안팎의 배당금과 합칠 때 상속세를 부담할 수 있을 것이란 관측이 여기에 덧붙는다.
미술계 안팎의 눈길은 ‘이건희 컬렉션’으로 일컬어지는 1만3천점가량의 미술품 처리 방향에 쏠려 있다. 재계와 화랑가에선 유족들이 상당수 작품을 국립현대미술관, 국립중앙박물관 등에 기증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미술품이 기증 처리되면 상속세 대상에서 제외된다.
이 회장이 ‘삼성 비자금 사태’ 뒤인 2008년 4월 대국민 사과문을 통해 밝힌 일부 재산의 사회환원 약속을 이번에 어떤 모양새로 이행할지도 관심사로 떠올라 있다. 당시 이 회장은 차명 재산을 실명 전환한 뒤 세금 등을 내고 남은 재산을 ‘유익한 일’에 쓰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 때문에 이번에 상속인들이 상속 내용을 밝히면서 공익적 목적의 사재 출연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영배 선임기자
kimyb@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