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전국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 수가 사상 처음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7월 말 기준 전국 주택청약종합저축 전체 가입자 수는 2701만9253명으로, 전달(2703만1911명) 대비 1만2658명 줄었다. 2009년 주택청약종합저축이 출시된 이후 전국 단위로 월별 가입자 수가 줄어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지역 가입자 수는 지난 5월 625만5424명, 6월 625만1306명, 7월 624만435명으로 2개월 연속으로 줄었다. 5대 광역시의 가입자 수도 2개월 연속 감소했다. 여기에다 지난달에는 인천·경기의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 수가 881만6737명으로, 전달인 6월(882만374명) 대비 3637명 줄어들었다. 반면 기타지역(8개 도 지방 및 세종)만 이 기간 가입자 수가 665만323명에서 665만3306명으로 늘어났다.
그간 청약 인기 지역으로 꼽힌 수도권과 5대 광역시의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 수가 줄어든 것은 통장 해지가 늘어난 것이라는 분석에 무게가 실린다. 최근 부동산시장 매수 심리 위축, 고분양 등으로 인한 청약 미달 현상 확산 등 청약통장의 효용성이 전과 같지 않기 때문이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청약통장 가입자는 이미 경제활동 인구에 비해 충분히 많은 수준이라 작년 초부터 증가세가 둔화하기 시작했다”면서 “전국 단위로 가입자 수가 줄어든 것은 지난달이 처음으로, 최근 부동산 시장 침체와 집값 하락으로 청약 시장에 대한 관심이 줄어든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청약 통장 해지의 배경으로는 낮은 금리도 지목된다. 현재 일반 주택청약종합저축의 금리는 연 1.8%로, 2016년 8월부터 6년째 같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최근 기준금리가 치솟으면서 대출금리뿐 아니라 예·적금 이자가 오르는 것과 대조적이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