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부동산

고금리에 전세 꺼리는 세입자…서울 아파트 월세 40% 첫 돌파

등록 2022-12-12 05:00수정 2022-12-12 10:13

아파트 임대 계약중 월세 41.7%
단독주택 67.3%…서민 주거비 부담↑
서울 마포구의 한 공인중개사사무소. 김혜윤 기자 unique@hani.co.kr
서울 마포구의 한 공인중개사사무소. 김혜윤 기자 unique@hani.co.kr

올해 서울 아파트 전월세 계약에서 월세 비중이 처음으로 평균 40%를 돌파하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금리 인상 여파로 전세자금대출도 어렵게 되면서 집주인은 물론 세입자까지 월세 선호 현상이 두드러진 데 따른 것이다.

11일 서울시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을 보면, 12월 이날 현재까지 서울 아파트 월세 거래량(신고 기준)은 총 8만6889건으로 전체 전월세 거래량(20만8315건)의 41.7%를 차지했다. 이는 2010년 관련 통계가 공개된 이래로 가장 높은 수치다.

서울 아파트 월세 비중은 2020년 평균 31.4%에서 지난해 38.5%로 늘었고, 올해 처음으로 40%를 넘어섰다. 올해 전월세 총 신고건수는 11일 현재 지난해(2만1399건)보다 적은 수준이나 월세는 이미 지난해 연간 거래량(8만2340건)을 넘어섰다.

월세 비중이 커진 것은 아파트뿐만이 아니다. 올해 서울 연립·다세대 월세 거래량은 총 4만3129건으로 전체 거래량(11만4천866건)의 37.5%를 차지했다. 지난해 월세 비중(32.8%)보다 높아진 것이다. 단독주택의 월세 비중은 전체 15만1625건 중 10만2047건으로 67.3%였다. 지난해에는 59.9%였는데 올해 들어 60%를 훌쩍 넘어섰다. 이에 따라 서울 전체 주택의 월세 비중은 지난해 약 44%에서 올해 48.9%로 50%에 육박했다.

월세 거래가 늘어난 것은 최근 금리 인상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부동산 업계의 분석이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금융기관이 전세자금대출 기준을 까다롭게 적용하고 있는데다 연 2~3%대였던 전세자금대출금리가 올해 들어 연 7%까지 치솟으면서 이자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 전세금 일부를 월세로 돌릴 때 적용하는 전월세 전환율은 3~4%선인데 대출 이자 부담은 갑절 가까이로 높아져 오히려 월세가 유리한 상황이 된 것이다.

월세 계약이 늘어나면서 임차인의 주거비 부담도 커지고 있다. 전세의 경우 최근 2~3년간 크게 올랐던 가격이 최근 떨어지고 있지만 월세 가격은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조사를 보면, 서울 아파트 월세가격은 지난해 2.53% 오른 데 이어 올 들어 10월까지 0.97% 상승했다. 이에 반해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해 6.48% 올랐다가 올해는 하락해 10월까지 -2.78%를 기록 중이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관세 송곳니 트럼프에 “설마가 현실로”…반도체·철강도 사정권 1.

관세 송곳니 트럼프에 “설마가 현실로”…반도체·철강도 사정권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2.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국내 항공사 항공기 416대 ‘역대 최다’…올해 54대 추가 도입 3.

국내 항공사 항공기 416대 ‘역대 최다’…올해 54대 추가 도입

공정위 칼 빼든 ‘쿠팡 끼워팔기’…위법인가, 마케팅 수단인가 4.

공정위 칼 빼든 ‘쿠팡 끼워팔기’…위법인가, 마케팅 수단인가

‘딥시크·트럼프발 악재’ 여파 환율 급등…‘1500 방어선’ 지켜낼까 5.

‘딥시크·트럼프발 악재’ 여파 환율 급등…‘1500 방어선’ 지켜낼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