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인물 대신 인터넷서 은밀히…입주 전부터 중개업소에 압력 ‘버블세븐’ 지역인 경기 용인시 언남동 ‘신일해피트리’ 등 수도권 41개 아파트 단지가 부녀회 등을 중심으로 가격을 짬짜미(담합)한 사실이 추가로 확인돼 정부의 제제를 받게 됐다. 이로써 지난달 21일 적발된 58개 단지를 포함해 수도권 짬짜미 아파트 단지는 모두 99곳으로 늘었다. 수도권 41개단지 추가 적발 건설교통부는 11일 “지난달의 1차 조사에 이어, 신고센터에 접수된 140개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2차 현장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41개 단지에서 현수막, 유인물 게시 등을 이용한 짬짜미 행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들 단지는 앞으로 4주동안 시세 정보제공이 중단되고 실거래가격이 건교부 홈페이지(www.moct.go.kr)에 게재된다. 적발된 단지는 서울 12곳, 인천 8곳, 경기 21곳이다. 특히 부천시의 경우 16개 단지가 무더기로 적발돼 짬짜미 행위가 가장 심한 곳으로 조사됐다. 반면, 올초에 짬짜미 행위가 극성을 부린 산본새도시와 일산새도시는 적발된 아파트 단지가 한곳도 없었다. 이에 대해 건교부 관계자는 “산본·일산새도시 일부 아파트의 경우 현수막, 유인물 게재 등을 하지 않고 인터넷을 통해 짬짜미하는 등 더욱 수법이 교묘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며 “앞으로는 이런 곳도 적발해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억대 끌어올리기 예사 이번에 적발된 서울 영등포구 당산동 현대아파트 35평형의 경우 실거래 가격은 3억1700만~3억5천만원인데도 ‘5억원 이하의 매물은 거둬달라’는 내용의 유인물을 배포해 짬짜미했고, 길음 동부센트레빌은 실거래가(33평형 기준 2억5천만~2억9천만)보다 평당 600만원 이상 높은 ‘평당 1500만원(4억9500만원)을 받자’고 짬짜미했다. 부천지역은 실거래 가격이 평당 700만~1천만원인데도 부녀회를 중심으로 1300만원으로 올려받자는 움직임이 많았다. 수원시 영통구 영통동 현대아이파크의 경우 입주도 하기 전에 중개업소에 일정금액 이상으로 거래해 줄 것을 요구하는 등 부당한 압력을 가한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실거래값에 영향 못줘 한편, 지난달 21일 가격 담합 사실이 적발된 58개 아파트 단지의 경우 매매가 이뤄진 16건의 실거래가격을 분석한 결과, 발표 전 실거래가와 비슷하거나 조금 낮은 수준에서 거래가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다. 가격을 짬짜미해도 별 효과가 없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실제 실거래가격이 1억~1억2500만원인 부천 소사본동 주공아파트 24평형은 여전히 1억1500만~1억1800만원에서 거래됐다. 상동 한아름아파트 24평형은 거래가격이 1억5천만원으로 1차 적발 때의 실거래 가격(최고 1억8천만원)보다 내렸다. 허종식 기자 jong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