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교통부가 실거래가를 발표한 아파트는 12만9천건으로 올해 6월까지 거래된 공동주택 전체 거래건수(37만2천가구)의 34% 정도다.
건교부는 거래에 의한 정보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500가구 이상의 중대형 단지 4천324곳(400만가구) 가운데 분기별로 10건 이상 거래된 2천896개 단지를 선정해 이번에 가격을 공개했다.
500가구 단지의 경우 연간 50건(10%)이 거래되려면 최소한 분기별로 10건 이상의 평균 거래가 있어야 한다는 판단에서였다.
건교부 발표때 가격은 평형별 거래가격이 아니라 평당 평균가격으로 나왔지만 홈페이지에서는 개별 아파트의 거래가격, 매매체결 일시가 모두 나와 가격 추이를 볼 수 있다.
이용방법은 건교부 홈페이지(www.moct.go.kr)을 접속해 시.도→시.군.구→읍.면.동 순으로 들어가 단지를 찾아 검색하면 된다.
하지만 이번에 공개된 실거래가 아파트는 개인정보 보호 차원에서 아파트의 위치, 층수 등이 나오지 않아 이에 따른 가격 차이를 알 수 없다. 건교부는 앞으로 실거래가 지수를 개발해 층별 가격차이 등을 감안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발표된 실거래가가 공개된 아파트중 기준가액보다 상당히 낮은 거래 가격은 다운계약서 작성, 비정상적 거래일 가능성이 높아 공개되지 않는다.
박상우 건교부 토지기획관은 "이번 실거래가 자료 공개는 공공기관의 정보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것으로 실제 거래된 정확한 가격정보를 공개, 소비자를 보호하려는 것"이라며 "충분한 가격 검증을 거쳤다"고 설명했다.
토지나 단독주택 등이 공개대상에서 빠진 것은 상품의 특이성이 크고 거래량이 적어 국지적인 실거래가 정보공개가 오히려 가격 왜곡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건교부는 "자료가 더 쌓이면 공개범위를 소규모 단지까지 확대할 방침이지만 앞서 발표했던 것과는 달리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층별, 위치별 가격은 공개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유경수 기자 yks@yna.co.kr (서울=연합뉴스)
토지나 단독주택 등이 공개대상에서 빠진 것은 상품의 특이성이 크고 거래량이 적어 국지적인 실거래가 정보공개가 오히려 가격 왜곡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건교부는 "자료가 더 쌓이면 공개범위를 소규모 단지까지 확대할 방침이지만 앞서 발표했던 것과는 달리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층별, 위치별 가격은 공개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유경수 기자 yks@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