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10곳 가운데 8곳은 경기 불안과 인건비 부담 가중 등으로 올해 안에 신규채용 계획이 없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6일 중소기업중앙회가 전국 중소기업 2010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기업 일자리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 기업의 82.9%가 올해 하반기 채용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기업 가운데 73.6%는 상반기에도 채용하지 않았으며, 신규채용을 하지 않는 이유로는 경기 불안(32.3%)과 인건비 부담 가중(31.9%) 등을 주로 많이 꼽았다.
또 이번 조사에서 중소기업 10곳 가운데 4곳가량(36.3%)은 노동시간 단축과 일·가정 양립 등을 위한 정부의 고용정책 변화가 ‘중소기업 기피현상 심화로 구인난을 가중시킨다’는 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중소기업 노동자의 일·가정 양립 수준은 열악한 것으로 조사됐다. 1인당 연차휴가 사용비율은 47%에 불과하고, 휴가 사용이 저조한 것은 ‘대체인력이 없다‘(48.6%)는 이유를 가장 많이 들었다. 육아휴직도 경제적 이유(33.8%) 또는 대체인력 구인난(26.9%) 때문에 신청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낮은 임금과 복지 수준 때문에 구인난이 더욱 심화하고 있다는 응답도 많았다. 신규 채용한 직원이 3년 이내에 이직하는 비율이 33.7%였고, 평균 근속연수는 6.4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기업의 10곳 중 4곳은 직원이 ‘정년 전 이직하는 이유’와 ‘인력난이 지속하는 이유'로 '급여·복지 수준이 낮아서'를 꼽았다. 또 최저임금 인상으로 가중되는 인건비 부담에 어떻게 대응하느냐는 질문에는 ‘고용 축소’가 60.8%로 가장 많았고, ‘대책 없음’이라는 응답도 26.4%나 됐다.
이재원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일자리 질에 초점을 맞춘 급격한 노동정책의 변화가 중소기업의 인건비 부담과 구인난을 가중시키고 있음을 이번 조사에서 알 수 있다”며 “기업이 개별 여건과 환경에 따라 합리적인 수준에서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노동시장을 유연화하는 것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경기 회복을 기대할 수 있는 일부 대안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박순빈 선임기자
sbpark@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