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공장 보급사업에 참여한 중소기업 생산성이 30%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매출은 7% 이상, 고용은 평균 3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3일 ‘스마트공장 보급사업 성과분석’ 결과 발표를 통해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중소기업은 평균적으로 생산성 30% 증가, 품질 43.5% 향상, 원가 15.9% 감소, 납기 준수율이 15.5%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어 “매출이 증가(7.7%)하면서 고용도 평균 3명 늘어났고, 산업재해는 18.3% 감소했다”고 했다.
조사 결과를 보면, 소규모 기업의 스마트공장 도입 효과가 비교적 큰 것으로 나타났다. 종업원 수 10인 미만 기업이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뒤 생산성은 평균 39% 늘었으며, 이들 기업의 고용증가율은 84.9%로 조사됐다. 매출액 기준으로는 10억원 미만 기업의 경우 원가가 31.2% 줄어 전체 조사기업 평균(15.9%)보다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업종별로는 식료품 제조업, 목재 제조업, 음료 제조업 순으로 생산성 향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2014~2017년 정부와 민간이 스마트공장을 보급한 기업 5003곳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김영태 중기부 기술혁신정책관은 “이번 조사에서 정부 8대 혁신성장 선도사업 중 하나인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의 성과를 확인했다”며 “상대적으로 개선 여지가 많은 소규모 기업이 스마트공장 도입 성과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는 점을 고려해, 소규모 기업에 대한 스마트공장 확대와 함께 고도화된 공장을 구축하는 투 트랙 전략을 펼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신민정 기자
shin@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