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10곳 중 6곳은 남북 경협에 관심이 있으며 선호 지역은 ‘개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중소기업 535곳을 대상으로 실시해 9일 발표한 ‘중소기업의 남북경협 인식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 기업 56.6%가 ‘남북경협에 관심이 높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심이 크다고 응답한 기업의 67.6%는 실제 남북경협에 참가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심이 높다고 답한 응답자 중에는 ‘북한 진출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어서’(59.1%)를 이유로 가장 많이 꼽았으며, ‘증가하는 인건비 등 어려운 경영환경 돌파구’(17.2%), ‘지속되는 남북 평화 무드’(10.6%) 등의 답이 뒤를 이었다. 남북경협에 참가할 경우 가장 선호하는 진출 형태는 ‘중소기업 협동조합을 활용한 공동진출’(64.0%)이 가장 많았다.
남북경협 활성화를 위해서는 손실보상 규정, 3통(통행·통신·통관) 문제 해결 등이 선행돼야 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응답자의 46.5%는 남북 경협 활성화를 위해 1순위로 필요한 해결사항으로 ‘피해 발생 시 국가의 손실보상 근거 규정 마련’을 꼽았고, ‘북측의 남북경협 합의사항 이행방안 마련’(17.2%), ‘3통 문제 해결’(16.8%) 등이 뒤를 이었다. 개성공단 폐쇄 등에서 중소기업의 입장을 대변할 민간기구의 필요성을 묻는 항목에 대해선 응답자 74.9%가 ‘찬성’ 의견을 밝히기도 했다.
중소기업이 가장 선호하는 북한 진출 지역은 개성(42.6%)이 꼽혔으며 평양(31.0%), 신의주(9.9%)가 다음 순위로 나타났다. 기업 경영 인프라가 구축된 지역이 선호되는 것으로 보인다.
김경만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중소기업계는 새로운 시장과 내수부진 극복을 위해 남북경협 참가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정치적 리스크의 불확실성 때문에 북한 진출에 부담을 갖는 것도 사실”이라며 “지속적인 상호신뢰 회복 등 남북정상회담 후속조치들이 차질 없이 추진되어 남북경협이 활성화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신민정 기자
shi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