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민간과 함께 소셜벤처(사회문제 해결을 목표로 하는 기업) 생태계 조성에 나서기로 했다. 소셜벤처 활성화를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의도다.
중소벤처기업부는 기술보증기금과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민간 소셜벤처 지원기관 등과 함께 소셜벤처 육성에 나선다고 25일 밝혔다. 4개 분야 총 9개 사업을 통해서다. 수도권과 지방을 구분하고 각각의 지역에서 민간기관과 지방자치단체, 대학이 참여하는 소셜벤처 육성사업이 추진된다. 수도권의 경우 서울 성수동을 소셜벤처 중심지로 만들고, 지역은 지역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중심으로 소셜벤처 지원 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성수동 일대를 소셜벤처 중심지로 만들기 위해 △소셜벤처 발굴 및 교육, 서울숲마켓을 통한 판로개척 지원 △소셜벤처에 특화된 고객관리, 투자유치방법 교육 △소셜벤처 활성화를 위해 대학생들이 직접 참여하는 성수동 소셜트립 코스 및 콘텐츠 제작 등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지역에서는 부산·대전·전북의 창초경제혁신센터를 중심으로 소셜벤처 중심지가 조성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소셜벤처 지원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소셜벤처 실태조사’를 올해 최초로 실시한다고도 밝혔다. 국내 소셜벤처 규모와 운영실태, 애로사항 등을 조사해 정책 기초자료로 이용할 계획이다. 중기부 관계자는 “조사가 완료되는 연말께 단편적으로만 파악하고 있던 국내 소셜벤처의 구체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회사가 소셜벤처임을 확인받는 ‘소셜벤처 판별·평가’ 시스템도 개편해, 기존에 기술보증기금 소셜벤처평가센터에서 오프라인으로 진행하던 것을 온라인 평가시스템도 도입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번 조처가 지난해 5월 일자리 창출의 일환으로 발표한 소셜벤처 활성화 대책의 후속이라고 설명했다. 당시 정부는 소셜벤처를 판별할 가이드라인 마련, 소셜벤처 허브 구축, 우수 소셜벤처 성장 촉진 등을 정책 과제로 제시했다. 중기부 관계자는 “이번 사업의 목표는 소셜벤처 신규 창업 및 성장 지원 생태계 조성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성장잠재력을 확충하는 것”이라며 “효과적인 지원을 통해 ‘민간주도, 정부확산’으로 소셜벤처를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신민정 기자
shin@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