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에서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지난해 벤처투자 실적 및 올해 계획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지난해 벤처 투자 규모가 사상 처음으로 4조원을 넘겼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9일 지난해 벤처 투자액이 4조2777억원으로 2018년 3조4249억원 대비 25% 증가했다고 밝혔다. 2조3803억원이었던 2017년에 비해서는 1.8배 증가한 수치다. 벤처 투자가 증가함에 따라 국내총생산 대비 벤처 투자의 비중도 0.22%로 상승해 미국, 이스라엘, 중국에 이어 세계 4위로 나타났다.
벤처투자를 받은 기업은 1608개로 1399개였던 전년 대비 15% 증가했다. 기업당 평균 투자 규모도 2018년 24억4810만원에서 26억6026만원으로 늘었다. 100억원 이상 대형투자를 유치한 기업이 2018년 51개에서 지난해 68개로 증가했고, 이 가운데 200억원 이상 투자를 유치한 기업은 22개로 나타났다.
헬스케어,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 분야 기업에 대한 투자가 1조7060억원으로 전체 투자액의 40%를 차지했다. 분야별로는 스마트헬스케어가 6172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공유경제 2761억원, 인공지능 2258억원, 핀테크 1207억원, 빅데이터 901억원 순이었다. 가장 많은 투자를 유치한 기업은 바이오업체인 디앤디파마텍으로, 830억원을 유치했다. 한 기업이 한해 동안 500억원 이상 투자를 유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다만 지난해 벤처 펀드는 4조1105억원이 결성돼 4조8208억원이었던 전년 대비 14.7% 감소했다. 민간 금융기관, 연기금 등 기관출자자의 펀드 참여가 2018년에 비해 9289억원 줄어든 게 영향을 미쳤다.
중기부는 올해 예산 8000억원과 회수재원을 합해 총 9000억원을 출자하고, 1조9000억원 규모의 모태펀드를 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출자재원의 절반 이상인 5200억원으로 92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창업 초기, 청년 창업, 지방, 여성 스타트업을 지원한다. 또 4차 산업혁명 분야 스타트업의 성장과 유니콘으로 도약하려는 스타트업 기업을 위해 3800억원으로 9500억원 규모의 ‘도약(Jump-Up) 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김윤주 기자
ky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