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 오히려 독약을 더 푸는 꼴 아닌가요.” “코로나 초기에도 효과는 없었어요.”
최근 증권사들의 연이은 반대매매 완화 조처를 두고 온라인에서 터져 나오는 반응이다. 출렁이는 주식시장의 변동성을 잡기 위한 대책이지만 정작 ‘개미’들은 시큰둥한 모양새다. 반면 금융당국은 투자자들의 공포 심리를 누그러뜨리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어 추이가 주목된다.
11일 업계 설명을 종합하면, 이날까지 증권사 총 13곳이 신용융자 담보비율을 인하하거나 반대매매 시점을 연기했다. 앞서 금융위원회가 3개월간 담보비율 유지 의무 규정을 면제해주기로 한 데 따른 것이다. 이는 증권사가 투자자에게 주식 매매 자금을 빌려주는 경우, 담보로 잡아둔 주식의 평가액이 대출 금액의 140% 이상을 유지하도록 한 규정을 가리킨다. 주가가 그 밑으로 떨어지면 추가 담보를 잡거나 해당 주식을 팔아야 한다. 이번 조처는 이렇게 시장에 나오는 반대매매 물량이 단기적으로 줄어드는 효과를 낼 수 있다.
투자자들은 큰 기대를 걸지 않는 분위기다. 일단 반대매매 물량이 시장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해석이 많다. 금융투자협회 집계를 보면, 지난 8일 기준 유가증권시장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의 신용잔고율은 0.01∼0.54%다. 시총 1·2위인 삼성전자와 엘지(LG)에너지솔루션은 각각 0.19%, 0.07%에 그쳤다. 신용잔고율은 전체 상장주식 중에서 신용으로 매수된 주식의 비중으로, 이 수치가 높을수록 반대매매 물량으로 인한 주가의 추가 하락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대형주들은 상대적으로 그런 영향에서 벗어나 있는 셈이다.
시장 전체적으로 봐도 비슷하다. 유가증권시장의 시가총액 대비 신용잔고 비율은 0.52%다. 코스닥 시장은 2.41%로 좀 더 높다. 금융위 관계자는 “반대매매 물량 때문에 증시가 움직인다고 보기 어렵긴 하다”면서도 “이번 조처는 주가를 (직접적으로) 부양한다기보다는 반대매매에 대한 공포 심리를 누그러뜨리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투자 심리의 향방에 눈길이 가는 이유다. 당장 반대매매 물량이 줄어들면 투자자들의 공포 심리가 일부 해소될 수 있으나, 줄어들지 않는 신용잔고는 그 자체로 불안 요소라는 지적도 있다. 김영익 서강대 경제대학원 교수는 “주가가 떨어지는 과정에서 신용을 계속 쓴다는 것 자체가 리스크가 높다는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이재연 기자
ja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