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둔화·미국 금리 변수
8월 주식시장은 오는 8일(미국 현지시각) 열릴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 주목하고 있다. 미국의 금리인상 중단 여부에 따라 증시의 향배가 결정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금리 인상 중단 가능성 보다는 경기 둔화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의견도 많다.
경제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가시지 않고 있고 특별한 상승 동력도 없는 탓에, 8월 국내 증시는 1300선 안팎의 ‘박스권 장세’(주가가 일정 범위 안에서 오르내림을 반복하는 장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주요 증권사들은 코스피지수가 1200대 초중반에서 1300대 중반을 오갈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김석중 굿모닝신한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미국 금리 인상 마무리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고 기업의 하반기 실적이 점차 회복세로 접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므로 주가는 1300선 위에서 안착할 가능성이 높지만, 상승폭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긍정적 전망도 없진 않다. 박천웅 우리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그동안의 기간 조정을 마무리하고 상승진입을 재시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가장 큰 변수는 미국 금리인상 중단 여부다. 지난 주말 발표된 미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 증가율이 급락하면서 미국 금리 인상 중단 가능성이 높아졌지만 미국 인플레이션 지수가 여전히 안정권을 벗어나 있어 금리 인상 가능성이 완전히 배제된 상태는 아니다. 이밖에 국제유가와 중국의 긴축정책 강화 가능성, 국내 경기 둔화 우려, 외국인 매도세 지속 여부 등도 주요 변수로 꼽힌다.
8월 투자전략에 관해 전문가들은 아직 본격 상승세를 보이고 있지 않으므로 소극적인 보유 전략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대신증권 김영익 센터장은 “8월은 앞으로 도래할 강세장를 대비할 시점으로 파악하고 있으며, 조정 국면을 이용한 분할 매수 관점을 권한다”고 말했다.
김진철 기자 nowher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