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연구소 설문조사 결과
여성의 진출과 활약이 두드러지면서 기업조직내 언어나 회식 문화가 바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전국 20~50대 직장인 276명에 대한 전화 설문조사 결과, '여풍(女風)으로 변한 것'을 묻는 질문에 44.9%가 '언어문화'를 꼽았고 이어 '복지사항'(36.5%), '회식문화'(20.4%) 등이 뒤를 이었다.
여풍이 기업경쟁력이나 조직분위기 변화에 긍정적으로 기여한다는 평가도 5점 만점에 각각 3.4점, 3.56점으로 비교적 높았다.
또 남성 설문자 178명 가운데 44.6%는 "여성동료를 경쟁자로 인식한다"고 밝혀 여성 인력이 업무 경쟁력에서도 인정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상사에 대한 거부감은 5점 만점에 2.51로 중립적 수준이었다.
또 '언제 여풍을 느끼나'라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38.5%가 '신입사원 중 여성 수가 많을 때'라고 답했고, 대다수인 88.7%는 "향후 여성 역할이 더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여성을 경쟁자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답한 남성들은 '조직관리 능력 부족(63.2%)'을 여성 동료나 상사의 가장 큰 약점으로 지적했다. 이철선 연구위원은 "국내 기업에서 여풍은 확산 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여풍이 기업 경쟁력에 계속 기여하기 위해 기업들은 탁아시설 등 인프라를 확충하고 여성은 스스로 업무 확대와 조직관리 능력 배양 등에 힘써야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신호경 기자 shk999@yna.co.kr (서울=연합뉴스)
그러나 여성을 경쟁자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답한 남성들은 '조직관리 능력 부족(63.2%)'을 여성 동료나 상사의 가장 큰 약점으로 지적했다. 이철선 연구위원은 "국내 기업에서 여풍은 확산 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여풍이 기업 경쟁력에 계속 기여하기 위해 기업들은 탁아시설 등 인프라를 확충하고 여성은 스스로 업무 확대와 조직관리 능력 배양 등에 힘써야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신호경 기자 shk999@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