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경제연구소 지적…평균 임금 웃도는 일자리 감소
고용통계와 달리 피부로 느끼는 취업난이 심각한 것은 질 좋은 일자리 숫자가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삼성경제연구소의 손민중 연구원은 3일 ‘세리CEO’사이트에 올린 영상보고서 ‘괜찮은 일자리 감소와 시사점’에서 “지난해 새로 만들어진 ‘괜찮은 일자리’ 수는 14만1천개로 2004년의 수준(30만5천명)의 절반에 그쳤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난5월 실업률이 3.2%에 머물고 취업자 수 역시 전년 동월보다 28만명 늘어나는 등 고용 동향이 안정세를 보이지만, 체감 고용경기가 쉽게 회복되지 않는 것은 이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삼성경제연구소에서 사용하는 ‘괜찮은 일자리’ 개념은 노동부 임금구조 기본통계상 전체 산업의 평균 임금을 웃도는 산업부문의 일자리를 가리키는 말로 금융, 보험, 정보통신서비스 등이 해당한다. 삼성경제연구소가 분석한 괜찮은 일자리 분야에서 매년 새로 창출된 일자리 수는 2002년 40만개, 2003년 -20만개, 2004년 30만5천명, 2005년 14만1천개 등으로 감소세를 보여왔다. 손 연구원은 “아이티 분야 등 임금 수준이 높은 기업들이 최근 몇년 동안 적극적인 투자를 하지 않으면서 상대적으로 좋은 일자리가 새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또 취업준비 비경제활동 인구의 증가는 좋은 일자리 창출이 부족한 현실과 맞물려 있다고 분석했다. 취업준비 비경제활동 인구는 구직단념자와 다르게 자발적으로 구직활동을 하지 않은 사람들을 가리킨다. 올해 1분기 49만2천명을 기록해 조사를 시작한 2003년 1분기(34만명) 이후 가장 많았다. 손 연구원은 “인력부족 부분이 존재하는 가운데 취업준비 비경제활동 인구가 증가한 것은 노동시장의 미스매치가 심각하다는 뜻”이라며 “이를 바로잡지 못하면 체감 취업난은 계속 심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올 하반기에도 ‘괜찮은 일자리’의 신규창출은 부족할 것으로 전망됐다. 하반기 실업률은 3.5%로 상반기보다 3.7%보다 낮아지겠지만 서비스업이 전체 고용증가를 주도할 것으로 보여 임금 수준이 높은 분야의 일자리는 그리 많이 늘어나지 않을 것이란 설명이다. 손 연구원은 “전체 시장은 고만고만한데 사업자만 늘어난 경우가 많다”며 “제조업이나 고부가가치 서비스 업종에서 기업들의 투자가 늘어야 좋은 일자리도 늘어난다”고 설명했다.
임주환 기자 eyeli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