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내무부가 운용하는 드론의 한 종류. 미국 내무부 누리집
미국 정부가 환경파괴 감시용 드론의 중국산 운용을 중단하고 자체 개발을 추진했으나, 비용은 8~14배 더 들고 성능은 떨어졌다. 미-중간 대결과 갈등이 격화하고 있지만, 양국 간 경제적 의존관계 단절에 따르는 비용이 만만찮은 현실을 보여주는 사례로 풀이된다.
영국의 <파이낸셜 타임스>는 18일(현지시각) 미국 연방정부 기관인 내무부의 내부 문건을 인용해 이런 내용을 보도했다. 내무부는 미국 연방 관할의 자연과 자원 등을 관리하는 업무를 담당하며, 환경보존과 산림감시, 산불 진화 등을 위해 연방정부 부처 중 가장 많은 드론(무인기·UAS)을 운용한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미-중 갈등이 격화하던 2019년 이들 드론에 중국제 부품이 사용됐는 이유로 810대를 모두 운행 중지시켰다. 이들 드론은 산불 진화 등에 다시 투입됐으나, 일부 임무가 제한됐고 추가 구매도 이뤄지지 않았다.
국방부는 그동안 1300만달러(약 149억원)를 들여 내무부를 비롯해 다른 정부기관이 중국산 드론 대신 사용할 드론 개발에 나섰다.
그러나 정권 이양기인 지난 1월 바이든 행정부를 위해 남겨놓은 내무부의 내부 문건은 “(국방부가 개발한) ‘블루 드론’을 승인함으로써 내무부 드론의 센서 능력이 95% 줄어들었다”며 “이 드론은 국방부의 특정 임무에 맞게 개발되어 내무부 임무 요구조건의 20% 정도만 충족할 것”이라고 적었다.
또 내부 문건에 따르면, 이들 드론의 평균 비용은 2100달러(약 240만원)로 이전에 내무부가 구입한 드론보다 8~14배나 비싸다. 국방부는 민간 기업과 협업해 정부기관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드론을 5종류 개발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난해 국방부 보고서를 보면, 이들 드론 중 적어도 4종류에 많은 중국제 부품이 사용됐다.
이는 분명한 대안이 없는 한 미국이 중국의 기술과 절연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를 분명히 보여주는 사례라고 신문이 지적했다.
미국 정부 당국자는 바이든 행정부가 정부 소유의 전체 드론을 대상으로 안전성 등을 재검토하고 있다고 말했지만, 트럼프 행정부 시절 내려진 중국산 드론 운행중단 명령을 철회하진 않고 있다.
내무부는 이에 대한 논평을 거부했다.
국방부 ‘국방혁신부서’(DIU)의 앤드루 무스토는 “(국방부에서 개발한) 이들 드론은 국방부에 특화된 능력을 물려받고 있고 그 부분이 비용과도 연관돼 있다”며 앞으로 다른 부서의 요구성능에 맞추고 비용을 절감한 드론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