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초문화” 여성항의 수용
스트립클럽 접대문화가 미국의 금융가 월스트리트에서 퇴출될 전망이다.
미국증권업협회(NASD)와 뉴욕증권거래소(NYSE)는 누드댄서들이 나오는 스트립클럽에서 고객을 접대하거나, 회사경비로 그 비용을 내는 것을 금하는 등 접대 장소와 비용 상한선을 규정한 규칙을 만들어 5천여개 회원사에 보냈다고 <유에스에이투데이>가 23일 보도했다. 이 규정이 몇주 안에 최종 확정돼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승인을 받으면, 이를 시행하지 않는 회사들은 회원 자격을 박탈당할 수 있다.
두 기관이 이런 조처를 마련하게 된 것은 최근 월스트리트의 여성 직원들이 이 문제를 제소해 승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남성 직원들이 고객을 스트립클럽에서 대접하며 여직원들을 배제하는 ‘마초 문화’는 여성들이 공정하게 경쟁할 기회를 빼앗는 행위라는 판결이 잇따르고 있다. 남성들이 여성 직원들의 고객까지 스트립클럽에서 접대해 실적을 올리면 여성들은 연봉에서 손해를 보게 돼, 실질적인 성차별이 된다는 뜻이다.
2004년 증권사 메릴린치를 상대로 한 성차별 소송에서 승소해 220만달러를 받은 하이디 섬너는 “남성들이 ‘업무활동’을 스트립클럽, 골프, 사냥과 연결시키고, 마음과 기호가 맞는 사람들을 지원하고 승진시켜주기 때문에 남녀차별이 영구화된다”고 <유에스에이투데이>에 말했다.
스트립클럽 출입자들에 대한 퇴출도 잇따른다. 최근 세이비스라는 정보기술 회사의 최고경영자가 스트립클럽에서 24만달러나 되는 돈을 쓴 뒤 회사카드로 결제한 것과 관련해 사임했다. 2004년 성차별 소송에서 져 5400만달러를 문 증권사 모건스탠리도 지난해 ‘스트립클럽 출입 금지’ 사규를 어긴 직원 4명을 해고했다.
박민희 기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