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 차관보 발언…정부 “파병 여부는 결정 안돼”
정부는 레바논 평화유지군(UNIFIL) 파병과 관련해 관계 부처 간 협의를 추진 중이며, 현지 정세 파악을 위해 조사단을 현지에 파견할 계획이라고 외교통상부 관계자가 29일 밝혔다.
외교부 관계자는 “현 단계에서는 파병 여부에 관해 결정된 사항은 없다”며 “다만, 정부는 현지정세 파악을 위해 일차적으로 사실조사단을 현지에 파견할 계획이며, 현재 유엔 사무국과 파견 시기 등 구체사항에 대해 협의 중에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애초 10월 초 현지에 조사단을 파견하겠다는 뜻을 레바논 쪽에 전했으나, 레바논 쪽의 요청에 따라 10월 중순 이후로 일정을 조정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고위 관계자는 “다른 나라 동향, 현지 정세, 평화유지군 소요 등을 다각적으로 검토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27일(현지시각) 워싱턴의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에서 열린 세미나의 오찬 연설을 통해 “노 대통령은 (지난 14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한국이 레바논 사태에 기여할 부분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곧 레바논에 조사팀을 파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소개했다.
힐 차관보는 또 한-미 정상회담에서 이라크 상황과 관련해 “이라크에 한국군 파병부대를 유지하는 것에 대한 한국의 (그동안의) 지속적인 약속에 관해 논의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힐 차관보는 이런 발언으로 파문이 일자 하원 국제관계위 청문회 도중 한국 기자들과 만나, “파병 연장은 한국 국회가 결정할 문제이고, 파병 연장 문제에 대한 논의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윤태영 청와대 대변인은 힐 차관보의 발언에 대해, “한-미 정상회담에서 노 대통령은 한국군의 이라크 파병 연장을 언급하지 않았다”며 “정상회담에서 부시 대통령이 한국의 이라크 등 파병에 대해 사의를 표했지만, 두 정상 사이에 이라크 파병 연장에 대한 논의는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 윤 대변인은 올 연말이 활동 만료시한인 자이툰 부대 파병 연장 여부도 “아직 결정된 것이 없다”고 밝혔다. 워싱턴/류재훈 특파원, 신승근 기자 hooni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