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유엔대사 인준 밀어붙여
민주 강력반대 “다른 사람” 요구
의회 휴회중 임명 등 ‘꼼수’ 궁리
민주 강력반대 “다른 사람” 요구
의회 휴회중 임명 등 ‘꼼수’ 궁리
미국 중간선거 이후 급진전하는 모습을 보였던 백악관과 민주당 사이의 초당적 협력 분위기가 존 볼턴 유엔주재대사 인준 문제로 썰렁해지고 있다.
조슈아 볼턴 백악관 비서실장과 민주당 중진들은 12일(현지시각) 〈에이비시(ABC)〉방송의 ‘디스위크’에 출연해 이 문제를 놓고 설전을 벌였다. 볼턴 비서실장은 존 볼턴 대사가 “유엔에서 아주 효율적으로 역할을 수행했다”며 13일부터 시작되는 ‘레임덕 회기’에 인준안을 밀어붙일 뜻을 밝혔다. 레임덕 회기란 중간선거 이후 새로운 원 구성에 앞서 열리는 마지막 회기를 말한다.
이에 대해 상원 외교위원장을 맡을 예정인 민주당의 조지프 바이든 의원은 “공화당이 지배하는 의회에서 인준투표조차 하지 못했던 인물을 레임덕 회기에 통과시키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게임의 규칙에 따라 다른 사람을 추천할 것”을 조지 부시 대통령에게 촉구했다.
지난해 8월, 부시 대통령은 볼턴 대사의 상원 인준이 민주당의 강력한 반대와 공화당 일부 의원들의 동조로 어렵게 되자, 휴회기간 중 임명이라는 편법을 썼다. 부시 대통령은 의회 인준을 받지 못한 볼턴의 임기가 올해 말로 다가오자, 최근 재임명을 위한 인준안을 다시 제출했다.
하지만 인준안이 상원을 통과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지난해에도 인준을 반대했던 상원 외교위의 공화당 소속 링컨 채피 의원은 이번 선거에서 낙선했음에도 “내 임기의 마지막 무대에서 민의를 거스르지 않을 것”이라고 종전 태도를 고수했다. 채피 의원의 반대로 상원 외교위 통과도 어려운 상황이지만, 상원 전체회의에 넘겨진다고 하더라도 민주당의 의사진행 방해(필리버스터링)를 봉쇄할 60표에서 한참 부족하다.
이런 상황에서 현실적인 대안은 볼턴 대사 스스로 물러나든가 부시 대통령이 다른 인물을 지명하는 것이다. 하지만 볼턴 대사 본인이 자리를 포기하지 않고 있다. 때문에 백악관 일각에서는 딕 체니 부통령의 지지 아래 또다시 상원을 우회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준이 필요없는 대리대사나 차석대사, 또는 임무를 특정하지 않은 본부대사에 임명해 사실상의 유엔대사 역할을 수행하게 하거나, 유회기간 중 재임명이라는 ‘꼼수’가 궁리되고 있다는 것이다.
또 백악관이 볼턴을 대북정책조정관에 임명하겠다며 민주당 쪽을 압박하고 있다는 얘기도 나돌고 있다.
워싱턴/류재훈 특파원 hoonie@hani.co.kr
워싱턴/류재훈 특파원 hooni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