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아도 나오는 웃음 지난 7일 중간선거에서 70% 가까운 압도적인 지지율로 재선에 성공한 힐러리 클린턴 뉴욕주 상원의원이 8일 뉴욕의 한 소방서 바깥 거리에서 지지자들과 악수하면서 사진을 찍고 있다. 뉴욕/AP 연합
‘보호무역 성향’ 대거 당선…부시 협상권 연장 무산위기
‘월스트리트저널’ 보도 민주당이 상·하원을 장악한 미국 중간선거 결과, 조지 부시 행정부가 강하게 추진해온 자유무역 정책들이 희생양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외신들이 보도했다. 스위스 국제경제원의 연구 결과, 하원에서 국제무역에 회의적인 의원 16명이 국제무역을 옹호해온 공화당 의원들을 대체했으며, 새로 당선된 5명의 상원 민주당 의원들 역시 상대 공화당 후보들에 비해 자유무역에 더 비판적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11일 보도했다. 전통적으로 친자유무역주의자들의 텃밭인 아이오와, 캔자스, 미주리주에서도 보호무역을 내세운 후보들이 당선됐다. 민주당 의회와 행정부가 다투게 될 가장 첨예한 사안은 내년 6월 말로 끝나는 대통령 신속협상권한의 연장 여부다. 한국과 자유무역협정을 논의 중인 미국 쪽은 이 권한이 6월 말 끝난다는 이유로 내년 3월 말까지 협상을 타결해야 한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행정부가 신속협상권한을 가질 경우, 의회는 비준권만 갖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의회에서 협상안 수정이 가능하다. 이 경우 행정부 차원의 협상이 지지부진해질 가능성이 크다. 신문은 민주당 의회가 부시 대통령에게 자국 노동자 보호 등 까다로운 양보조건을 달면서 신속협상권 기한 연장을 사실상 무산시킬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예컨대 일부 민주당 의원들은 외국 기업들과의 경쟁으로 실직한 노동자들에게 정부가 매년 지원하는 기금 10억달러의 대폭 확충을 제안하고 있다. 또 다른 민주당 의원들은 신속협상권한을 세계무역기구의 다자간 무역협상인 도하라운드에만 적용하는 조건으로 연장해주는 협상안을 제시하고 있다. 미 상공회의소 상임부회장 브루스 조스턴은 특정 무역협정에만 적용할 수 있는 제한된 연장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하면서, “(민주당이 요구하는) 추가적인 요구로 무역협정들이 좌초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민주당 의원들은 한술 더 떠 자유무역을 어렵게 하는 더 강력한 법안을 밀어붙이고 있다. 미국과의 무역협정을 위반하는 국가에 대한 조사권을 가진 ‘무역 검사제도’의 도입이나, 중국이 위안화를 절상할 때까지 한시적으로 관세를 올리는 법안 등이 그 예다. 일각에선 자유무역의 기조가 큰 틀에선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도 내놓고 있다. 빌 클린턴 행정부에서 무역대표부 대표를 지낸 찰린 바셰프스키는 민주당이 도하협상을 구하기 위해 실질적인 협력을 할 것이라고 예상한 뒤 “(민주당 승리가 자유무역 기조엔) 힘들지만, 반드시 역사를 뒤바꿀 이벤트는 아니다”고 진단했다. 강성만 기자 sungm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