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하원 외교위 ‘39대 2’ 가결
다음달 둘쨋주 상정될듯
다음달 둘쨋주 상정될듯
미국 하원이 26일(현지시각) 외교위원회를 열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 위안부의 강제동원에 대해 일본 정부가 공식 사과할 것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압도적 찬성으로 통과시켜 결의안의 본회의 통과 가능성이 한층 높아졌다.
민주당 마이클 혼다 의원이 발의한 일본군 위안부 결의안(HR121)은 이날 외교위 표결에서 찬성 39, 반대 2로 가결돼 본회의로 넘어갔다. 이 결의안은 “일본 정부에 의해 강요된 군 매춘 제도인 ‘위안부’는 20세기 최대 규모의 인신매매 가운데 하나”라고 명시하고, 일본에서 “이들의 비극과 전쟁범죄를 축소하려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결의안은 일본 정부가 △위안부 강제동원을 공식적으로 인정·사과해 역사적 책임을 질 것 △위안부 동원 부인 주장을 반박할 것 △미래세대에 교육할 것을 요구하고, 일본 총리가 총리 자격으로 공식 사과할 것을 권고했다. 총리 사과를 ‘요구’했던 원안은 일본과의 동맹관계를 고려한 톰 랜토스 외교위원장의 수정 의견을 반영해 ‘권고’로 일부 수정됐다.
낸시 펠로시 하원 의장은 이날 성명을 발표해 “하원 본회의도 이 결의안을 통과시켜 위안부들이 겪은 엄청난 고통을 우리가 잊지 않을 것이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해주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일본계 3세로 결의안 통과에 주도적 구실을 한 혼다 의원은 “7월 둘쨋주 본회의에 상정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외교위 표결 결과를 볼 때 본회의 통과의 좋은 기회를 맞은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지금까지 전체 하원의원 435명 가운데 149명이 결의안의 공동발의자로 서명했다.
<뉴욕타임스>는 27일 “올 3월 아베 신조 총리가 일본군의 강제동원 책임을 부정하면서 아시아와 미국 등에서 분노를 불러일으켰고 결의안에 대한 지지가 결집되기 시작했다”며 “아베 총리는 결의안이 통과돼도 사과하지 않겠다고 말했지만 다음달 본회의에서 통과되면 어떤 식으로든 대응하라는 압력을 받게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박민희 기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