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주택담보 대출 보증 시장 (왼쪽) ‘2차 서브프라임 위기’에 대한 미 정부의 3가지 해법 (오른쪽)
‘2차 서브프라임 위기’
위기업체 자산인수 방침…“대책 효과없다” 비관론 일어
급기야 미국 정부가 ‘2차 서브프라임 위기’의 소방수로 직접 나섰다.
천문학적인 5조3천억달러(약 5300조원)의 주택담보 대출 보증을 해온 패니메이와 프레디맥의 흔들리자, 미 정부가 긴급자금 지원에 나섰다. 또 이들 업체가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재할인창구에서 저금리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구제금융을 단행했다. 애초 이들 업체들은 연준으로부터 이런 지원을 받을 자격이 없다.
핸리 폴슨 미국 재무장관은 13일 밤 유동성 위기에 처한 주택담보 대출보증업체인 패니메이와 프레디맥에 각각 22억5천만 달러의 자금지원과 함께 필요할 경우 이들 회사의 자산을 매입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무제한의 권한’을 허용해달라는 법안 통과를 의회에 요청했다. 그는 성명서를 통해 “두 회사는 미국의 주택금융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만큼, 현 상황을 안정시킬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조지 부시 대통령도 다급했던지 “의회가 빨리 법안을 통과시키는 게 중요하다”는 성명을 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이러한 움직임은, 패니와 프레디를 지탱하는 데 실패할 경우 미국 금융시장과 달러에 대한 국내외 투자가들의 신뢰가 약화되는 등 금융혼란이 깊어질 수 있다는 워싱턴의 두려움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상황의 심각성을 공유해왔던 하원 금융위원회의 바니 프랭크 위원장은 곧바로 “다음주 쯤이면 법안이 대통령 책상에 올라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지지의사를 밝혔다.
미 재무장관이 성명을 통해 밝힌 구제금융 절차는 △두 회사에 각각 22억5천만달러 공급 △자산 인수 허용 △연방은행 재할인창구를 통해 상업은행 수준인 2.25%(기준금리는 2.5%)의 금리에 자금 조달 허용 등 크게 세가지다. 따라서 프레디맥이 다음달 매각하겠다고 밝힌 55억달러의 자산은 정부가 매입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1차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 대출) 부실 사태로 이미 1천억 달러 이상의 손실을 본 두 모기지 보증업체를 회생시키는데, 미 정부가 지불해야 할 비용은 최소 수백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재무부가 최대 얼마나 많은 신용을 공급해줄 것인지, 또 자산은 얼마나 매입할 것인지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고 전했다.
프레디맥이 14일 판매를 시작한 30억달러 규모의 채권은 성공적으로 전량 매각됐다. 그덕에 시장이 이들의 향후 전망을 최악으로 보는 것은 아니라는 분석도 나온다. 하지만 정부의 개입 선언 이전, 패니메이와 프레디맥의 주가는 지난 한주 동안 45%, 47% 하락하는 등 올 들어서만 각각 74%, 77% 폭락했다.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미 정부의 대책을 감안하더라도 두 회사 주가가 35% 가량 추가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는 진단을 냈다. 이날 각각 32%, 26%의 급등세로 출발한 두 종목은 오래지않아 전일 수준을 오르내리며 오전장을 마무리했다. 한편, 연준은 14일 이사회에서 이른바 ‘서브프라임 사태의’ 주원인으로 지목되는 무분별한 주택담보 대출의 억제를 위해 주택 구매자 보호조처를 실시하기로 결정했다고 <에이피>(AP) 통신이 전했다. 이번 조처에는 조기 상환에 대한 위약금 부가 금지 등 소비자 보호 조처가 포함됐다. 벤 버냉키 연준 의장은 이날 “불공정한 (대출업계의) 관행이 대출, 특히 고비용대출을 늘려왔다”고 지적했다. 류이근 기자 ryuyigeun@hani.co.kr
프레디맥이 14일 판매를 시작한 30억달러 규모의 채권은 성공적으로 전량 매각됐다. 그덕에 시장이 이들의 향후 전망을 최악으로 보는 것은 아니라는 분석도 나온다. 하지만 정부의 개입 선언 이전, 패니메이와 프레디맥의 주가는 지난 한주 동안 45%, 47% 하락하는 등 올 들어서만 각각 74%, 77% 폭락했다.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미 정부의 대책을 감안하더라도 두 회사 주가가 35% 가량 추가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는 진단을 냈다. 이날 각각 32%, 26%의 급등세로 출발한 두 종목은 오래지않아 전일 수준을 오르내리며 오전장을 마무리했다. 한편, 연준은 14일 이사회에서 이른바 ‘서브프라임 사태의’ 주원인으로 지목되는 무분별한 주택담보 대출의 억제를 위해 주택 구매자 보호조처를 실시하기로 결정했다고 <에이피>(AP) 통신이 전했다. 이번 조처에는 조기 상환에 대한 위약금 부가 금지 등 소비자 보호 조처가 포함됐다. 벤 버냉키 연준 의장은 이날 “불공정한 (대출업계의) 관행이 대출, 특히 고비용대출을 늘려왔다”고 지적했다. 류이근 기자 ryuyige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