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만달러이상 차익”… ‘투기 고유가 배후론’ 증폭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유가 조작 기업을 처음으로 사법당국에 고발했다. 이에 ‘투기자본이 고유가의 배후’라는 주장을 둘러싼 논쟁도 더 깊어질 전망이다. 그동안 미국 의회는 고유가의 큰 원인으로 오일 투기를 지목해온 반면, 정부는 늘어난 수요와 부족한 공급에 더 주안점을 둬왔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는 상품선물거래위가 네덜란드계 펀드 ‘옵티버홀딩’과 자회사 두 곳, 그리고 고위급 임원 세 명이 지난해 3월 뉴욕 상품거래소(NYME)에서 최소한 다섯 번에 걸쳐 원유와 난방유, 휘발유 선물가격을 조작한 혐의를 포착했다고 25일 보도했다. 이 회사는 11일에 걸쳐 모두 19차례 가격 조작을 시도했으며, 선물가격을 세 번은 비정상적으로 낮추고 두 번은 끌어올려, 100만달러 이상의 수익을 챙겼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상품선물거래위에 따르면, 전자우편과 전화통화 내역을 조사한 결과 두 명의 피고인은 유가 조작 혐의로 조사를 받을 것에 대비해, 당국에 제출할 거짓 진술에 대해 토론하고 있었다. 또 다른 전자우편에서 옵티버홀딩의 트레이더들은 그들이 에너지 시장을 “망치로 두들기고” “때리고” “괴롭힐 것”이라고 언급하는가 하면, “가격조작을 위해 충분한 양을 거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상품선물거래위의 월터 루켄 위원장은 “이번 에너지 가격 조작이 불과 며칠 동안만 지속된 것이지만, 아무리 단기간이라고 하더라도 정상적인 거래 가격을 훼손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이 위원회는 지난해 12월부터 유가조작 관련 의혹을 조사해 왔으며, 현재 수십건이 조사대상에 올라 있다.
황보연 기자 whyn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