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 무인비행기가 탐지한 정찰영상 자료들이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 무장세력에 의해 해킹을 당해왔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라크와 아프간의 무장단체들은 미군의 첨단 무인비행기 ‘프레더터’가 탐지해 보내는 첩보 동영상을 해킹 프로그램을 이용해 가로채왔다고 <월스트리트 저널>이 17일 보도했다.
미군은 지난해 말 이라크 시아파 무장단체 요원을 붙잡아 조사하는 과정에서 이 사실을 처음 확인한 것으로 보인다. 시아파 무장세력 요원의 컴퓨터에 무인비행기 정찰영상 자료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시아파 무장세력은 인터넷에서 25.95달러면 손쉽게 살 수 있는 러시아 업체 프로그램인 ‘스카이그래버’를 이용했던 것으로 미군은 보고 있다. 미군은 지난 7월에도 다른 무장세력 컴퓨터에서도 미군 무인정찰기에서 빼낸 동영상 파일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미군은 무장단체들이 지속적으로 무인정찰기가 탐지한 정찰 자료들을 가로채왔다고 결론을 내렸다고 <월스트리트 저널>은 전했다. <에이피>(AP) 통신은 미국 국방부 관리의 말을 인용해 “아프간에서도 무인정찰기 영상 해킹이 최소 1건 이상 있었다”고 전했다. 미군은 조종사가 탑승할 필요가 없어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이라크와 아프간, 소말리아, 예멘 등에서 무인비행기를 활용해왔다.
조기원 기자 garde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