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 견제’ 노골화
인도 등 라이벌 국가 방문
위안화 문제 등 압박할듯
“아시아 균형추 역할” 자임
인도 등 라이벌 국가 방문
위안화 문제 등 압박할듯
“아시아 균형추 역할” 자임
중간선거에서 초라한 성적을 거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쉴 틈도 없이 5일부터 아시아 순방에 나선다. 취임 뒤 가장 긴 9일간의 순방은 중국을 빼놓고 한국-일본-인도-인도네시아를 방문하는 일정이지만, 핵심 화두는 중국이 될 전망이다.
제프리 베이더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 담당 선임보좌관은 오바마 대통령이 이번 순방에서 환율, 무역, 인권 등 중국 관련 이슈에 집중할 것이라고 2일 밝혔다고 <로이터> 통신 등이 보도했다. 베이더 선임보좌관은 오바마 대통령이 아시아에 대한 개입 의지를 재확인해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우려하는 아시아 국가들에게 균형추를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의 부상은 미국뿐 아니라 아시아 모든 국가의 주요 관심사”라면서 “중국과 적대적 관계를 만들려는 국가도 없지만 중국에 지배당하고 싶은 국가도 없다”고 말했다.
동맹국과의 전략적 관계 강화를 통한 중국 견제는 순방의 핵심 의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부상을 우려하는 최대 라이벌 인도, 중국과 댜오위다오(센카쿠열도)를 둘러싼 갈등을 벌이는 일본, 천안함 사건 이후 북한과 중국의 밀착에 우려하는 한국 등이 미국과의 관계 강화 신호를 보내고 있다. 만모한 싱 인도 총리의 전 보좌관인 산자야 바루는 <유에스에이투데이>에 “인도는 미국과 공동의 목표를 회복하길 원하고 있다”며 “양국 모두 이슬람 극단주의와 중국의 권위주의적 시스템의 부상을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바마 대통령도 인도 언론 인터뷰에서 “인도를 미국의 대 아시아 관계에 있어 초석으로 여기고있다”며 “전략적 동반자관계 강화”를 강조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중국 방문에서 인권문제에 대해 목소리를 낮췄던 것과 달리 이번 순방에서는 중국의 인권 상황, 지적재산권 문제 등도 이슈화할 예정이다.
또다른 초점은 미국 경제 회복에 맞춰진다. 베이더 보좌관은 오바마 대통령이 11일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과의 서울 정상회담을 비롯해, 이번 순방 동안 여러차례에 걸쳐 위안화 절상 문제를 제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마무리에도 힘을 쏟을 예정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최근 이명박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에서 11~12일 서울 방문 동안 자유무역협정을 마무리하고 싶다고 밝혔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